고리 1호기 ‘즉시해체’ 방식 적용

입력 2017-06-19 05:00

고리 1호기는 사용후핵연료를 제거한 뒤 일정기간 원전을 유지해 방사능 준위를 낮춘 후 해체하는 ‘즉시해체’ 방식을 택했다.

원전 해체 방식에는 ‘지연해체’와 ‘즉시해체’ 방식이 있다. 약 15년이 걸리는 즉시해체 방식은 지연해체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빠르게 부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연해체 방식은 60년이 넘게 걸리기 때문에 경험 인력이 단절되고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미국과 독일, 프랑스 등 대부분의 국가 역시 지연해체 방식에서 즉시해체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원전 해체는 방사선 안전관리, 기계, 화학, 제어 등 여러 분야 지식이 복합돼 있는 기술을 요한다. 해체에 15년 넘게 소요되는 이유다. 원전 해체는 1단계 주민공청회 등 ‘인허가’를 거쳐 2단계 ‘사용후핵연료 냉각·반출’ 작업에 돌입한다. 이후 방사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구조물을 해체하는 3단계 ‘본격 해체’ 작업에만 수년이 소요된다. 마지막 4단계 ‘부지 복원’을 거쳐 자연 상태로 복원해야 해체 작업이 마무리된다. 여기에 사용후핵연료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마련하는 것도 큰 과제로 남아있다.

아직 확보하지 못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시급하다. 국내 해체 기술은 선진국 대비 70%(2015년 기준) 수준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은 2021년까지 100% 국산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 중이다.

한수원은 고리 1호기를 해체하기 위해 필요한 58개 기술 중 아직 17개(필수 10개, 보조 7개)를 확보하지 못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년까지 기술개발비 4419억원 등 해체에 총 6163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한수원은 국내 기업을 선정해 순수 국내 기술로 해체 작업을 수행하겠다는 계획이다.

고리 1호기를 비롯해 2030년까지 설계수명을 다하는 원전이 12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원전 해체’ 산업도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2020∼2040년 수명이 다하게 되는 원전은 300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 규모만 2050년 200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원전 해체는 기술 보유뿐만 아니라 실제 해체 경험이 중요하다. 미국과 독일, 일본을 제외하면 원전 해체를 경험한 국가가 없는 상황이다. 고리원자력본부 박지태 발전소장은 “고리 1호기의 해체 운영 노하우는 국내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해체 시장을 발굴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