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장관 후보직에서 사퇴한 안경환(69) 후보자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과거사위) 활동기간 경력까지 부풀렸던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는 5개월 남짓 활동했으면서도 국회에 낸 인사청문요청안의 경력사항에서는 2년간 과거사위 위원이라고 밝힌 것이다. 노무현정부 때인 2006년 10월 청와대는 안 후보자를 국가인권위원장으로 인선하며 현직 과거사위 위원으로 소개했지만 이 역시 허위였음이 이번에 드러났다.
안 후보자는 16일 국민일보 기자를 만나 “과거사위 활동은 5개월 정도 했고, 이후 서울대 총장 선거에 나갔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의 인사청문요청안 이력에는 2005년 12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만 2년간 과거사위 위원이었다고 명시됐다. 이에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처음에 임명될 때 돼 있던 기간”이라며 “중간에 나갔는지는 확인이 안 됐다”고 말했다.
안 후보자는 2013년 서울대에서 정년퇴임할 때 과거사위 활동 기간을 5개월 남짓으로 밝힌 바 있다. 2013년 9월 서울대 ‘법학’지 제54권에 실린 ‘청운 안경환 교수 정년기념 대담’에 따르면 그는 2005년 12월∼2006년 4월 과거사위 위원으로 있었다. 조직 정비가 끝나지 않은 출범 초기임을 감안하면 안 후보자의 위원 활동은 미미했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기록관에 따르면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6년 10월 30일 안 후보자를 국가인권위원장으로 인선하며 ‘발표자료’에서 그가 현직 과거사위 위원이라고 소개했다.
그의 과거사위 활동이 5개월에 훨씬 못 미친다는 주장이 공개적으로 제기된 적도 있다. 2006년 10월 31일 전국 37개 인권단체로 구성된 인권단체연석회의는 일제히 논평을 내고 “안 위원장은 2005년 12월 1일 출범한 과거사위 비상임위원으로 인선됐으나 단 2개월여 만에 서울대 총장 선거 출마를 이유로 비상임위원직을 사퇴했다”고 비난했다.
이에 안 후보자 측은 “과거사위가 2010년 없어지다 보니 관련 기록 확인에 어려움이 있다”며 “의도적으로 경력을 속인 게 아니며 그럴 의도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경원 황인호 기자 neosarim@kmib.co.kr
[단독] 安, 과거사委 경력도 뻥튀기
입력 2017-06-17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