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 우리 경제에 ‘먹구름’… 가계부채 ‘방아쇠’ 당길 우려

입력 2017-06-15 21:28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한국시간으로 15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00∼1.25%로 0.25% 포인트 인상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AP뉴시스
미국이 기준금리를 다시 올리면서 우리 경제에 더 짙은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뇌관’이라는 오명을 안고 있는 가계부채의 ‘방아쇠’를 당길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진다. 아직 탄력을 받지 못한 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은 것은 물론 일자리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도 나온다.

일단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에 당장 미칠 영향은 적다고 판단한다. 다만 미국이 본격적으로 ‘양적완화 터널’의 출구에 바짝 다가서면서 우리도 서둘러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한국시간으로 15일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렸다. 올 들어 단행된 두 번째 인상이다. 최근 미국의 고용률이 부침을 겪는 등 단기 경제지표가 다소 흔들리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연내에 연준이 한 차례 더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본다. 경기 회복이 뚜렷해지자 글로벌 금융위기 탈출을 위해 펼쳐온 양적완화의 커튼을 걷으려는 것이다.

연준의 보유자산 단계적 축소 계획도 같은 맥락 위에 있다. 축소 계획이 시작되면 보유채권이 한꺼번에 만료되는 12개월 뒤부터 연준의 보유자산은 자동적으로 매월 500억 달러 줄어든다. 그동안 연준은 대출금리를 낮추기 위해 장기채권을 집중적으로 매입했다. 2007년 8000억 달러였던 보유자산은 현재 4조5000억 달러에 이른다. 장기채권 매입을 중단하는 것만으로도 금리 인상과 동일한 긴축효과가 난다.

시장에서는 이번 금리 인상이 우리 시장에 미칠 영향이 그리 크지 않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미 오래전부터 예고됐기 때문이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미국 경기가 이미 회복됐기에 시장에 직접적 영향은 적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긴축 의사를 밝혔지만 구체적 시기가 언급되지 않았다”면서 “금융시장 충격을 최소화할 것이라 밝힌 만큼 주식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 건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미국이 연말까지 한번 더 기준금리를 올리면 현재 1.25%인 우리 기준금리보다 높아진다. ‘금리 역전’이 벌어지면 우리 시장에 들어온 외국인 투자자금이 고금리를 좇아 이탈할 가능성이 생긴다. 우리 자본시장에서 최근 외국인 비중이 급격히 높아졌기에 충격이 만만찮을 수 있다. 다만 이 시나리오가 곧장 현실화될 가능성은 적다. 전성인 홍익대 교수는 “환율 변화 등에 따라 자본유출 여건이 조성되지 않을 수 있다. 자본유출이 일어나더라도 규모가 적을 것”이라고 봤다.

금리 역전을 막기 위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려도 골치다. 136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 문제에 직접 타격을 줄 수 있다. 이미 시장에서 조짐이 시작됐다.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라 국내 시장금리도 뛰면서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지난달 1.47%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0.01% 포인트 올랐다. 코픽스가 오르면 변동금리도 뛰어 가계에 부담이 된다.

한은이 금리를 인상하면 문재인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일자리 관련 재정정책과 마찰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 김동헌 고려대 교수는 “한은의 금리 인상은 긴축 신호인데 현 정부는 반대로 재정을 풀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게 기조”라면서 “우리 경제를 이끄는 두 축인 정부와 한은이 먼저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동근 명지대 교수는 “하반기에도 우리 경제가 순조로울지 알 수 없다”며 “정부의 경제정책이 비틀거린다면 하반기 미국 금리 인상의 타격을 크게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효석 안규영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