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이후 동해안 해변을 60여년간 가로막고 있던 군(軍)의 경계철책이 올해 대부분 철거된다.
강원도환동해본부는 열영상 감시장비 설치업체의 자금사정으로 지연됐던 군 철책 제거사업을 재개한다고 15일 밝혔다. 도환동해본부에 따르면 열영상 감시장비를 수입해 설치하기로 했던 A업체가 장비 대금 문제로 사업을 그만두면서 올해 군 철책 제거 사업이 지연돼 왔다. 올해 사업구간은 강릉·삼척 등 동해안 6개 시·군 13개소 15.4㎞로 현재 4.2㎞만 철거한 상태다.
도환동해본부 관계자는 “해당 업체와 계약 해지절차를 밟고 있으며 계약 해지가 완료되면 수의계약을 통해 새 사업자를 정한 뒤 철거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업체가 선정되면 이르면 8월까지 잔여 구간의 철거가 완료될 예정이다. 철거 예정 구간은 강릉 송정과 연곡해변, 옥계 금진해변 등이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철조망을 돌아서 해변에 들어가거나, 눈앞에 바다를 두고도 해변에 들어가지 못했던 불편이 사라진다. 철거된 철책 자리에는 대체 감시장비가 설치된다.
1953년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이후 강원도 최북단 고성과 최남단 삼척을 잇는 동해안 6개 시·군에 경계철책이 설치됐다. 2000년대 들어오면서 북한의 대남도발 방식이 변함에 따라 디지털 감시장비로 대체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관광활성화를 위해 시급히 철거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됐다.
이에 따라 2006년부터 해안철책 철거가 본격화됐고 지금까지 64.3㎞의 철책이 사라졌다. 현재 도와 군부대는 8월까지 11.1㎞를 철거하고 올 연말까지 32개소 33㎞를 추가로 제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도와 시·군은 철책이 사라진 곳을 휴양 및 휴게쉼터로 활용하고 해안림 복원사업 등을 추진해 관광활성화를 모색할 방침이다. 도환동해본부 관계자는 “올해 33㎞ 구간이 신규 사업 대상으로 선정되면 해변 대부분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게 된다”며 “동해안 경계철책 제거는 주민들의 오랜 바람이었던 만큼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강릉=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동해안 軍 경계철책, 연내 대부분 철거된다
입력 2017-06-15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