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부산, 영호남권 등 전국 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미래 인구 구성비에 비상등이 켜졌다. 이들 지역은 2045년이면 30년 전(2015년)보다 일할 수 있는 인구가 30% 이상 줄어든다. 일할 사람은 점점 줄어드는데 고령화로 인해 부양해야 할 이들은 늘어난다. 경북 등 4개 시·도는 1명이 최소 1명 이상을 부양하게 될 형편이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에 따르면 일할 수 있는 연령대인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5년 기준 3744만명에서 2045년 2772만명으로 26.0% 줄어든다. 지역별로는 부산(-38.2%) 대구(-37.0%) 경북(-33.6%) 순으로 감소세가 크다. 이외 전북와 전남, 광주, 서울 역시 30% 이상 감소가 예고됐다. 낮은 출산율과 인구 유출이 원인으로 꼽힌다.
반면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고령자 인구는 대폭 늘어난다. 2015년 기준 100명당 36.2명에서 2045년 84.2명까지 배 이상 급증할 전망이다. 특히 전남(116.8명) 경북(108.3명) 강원(107.8명) 전북(105.4명) 4곳은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 인구가 100명을 넘어서게 된다. 2045년 기준 만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가 30년 전보다 6.4배 증가하는 등 고령자가 늘어나는 게 주 원인이다.
한편 전체적인 인구 감소도 예고됐다. 지난해를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한 광주·전북에 이어 전남도 올해부터 인구 감소로 돌아선다. 2045년이면 전국 16개 광역 지자체가 인구 감소를 겪는다. 늘어나는 곳은 세종시뿐이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2015→2045년 추이 예측… 생산가능인구 부산 -38% 대구 -37% 인구 늘어나는 곳은 세종시가 유일
입력 2017-06-15 1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