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협치 끝났다”… 장외투쟁론 솔솔

입력 2017-06-16 05:00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대치 정국이 일촉즉발 위기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강 후보자 임명이라는 버튼을 누를 경우 여야 전면전은 불가피해 보인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원내대표)은 15일 문 대통령의 강 후보자 임명 강행 방침에 대해 “야3당에 대한 사실상 선전포고”라고 규정했다. 이번 정국을 정쟁이 아니라 전쟁 수준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선전포고라는 표현에는 문 대통령이 이번 파국을 촉발시켰다는 ‘책임 떠넘기기’ 의도도 담겨 있다.

정 권한대행은 인천 남동구의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지역본부에서 열린 ‘민생 AS센터’ 현장 방문 간담회에 참석해 “문 대통령의 밀어붙이기가 현실화된다면 국회 차원의 협치가 사실상 끝난 것은 물론 우리 야당으로서도 보다 강경한 수단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했다. 또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인준 문제와 추가경정예산안, 정부조직법 등 각종 현안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다른 야당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공동 보조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야당이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게 내몰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한국당은 문 대통령의 강 후보자 임명 강행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 경우 강경 투쟁하겠다는 내부 방침도 세웠다. 문제는 투쟁 방법이다. 한국당 내부에서는 국회를 버리고 서울 신촌 등지로 떠나 장외투쟁하자는 강경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소수다. 한국당 내 다수는 국회에 남아 문재인정부가 공을 들이는 ‘일자리추경’과 정부조직법 개편 등을 저지하자는 온건론을 지지하고 있다. 장외투쟁론에 대해 “지금은 때가 아니다” “잘못 거리로 나섰다가 민심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진다. 다른 장관 후보자들 인사청문회가 줄지어 남아 있는 것도 부담이다. 인사 문제를 공격하기에 가장 좋은 무대인 청문회를 보이콧하는 것은 정부·여당만 도와주는 것이라는 얘기다. 정 권한대행도 “국회에서의 투쟁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는 국회에서 (투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록 소수이긴 하지만 한국당에서 장외투쟁론이 확산되는 것은 ‘야3당 공조’에 대한 불만 때문이다. 한 한국당 의원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으로부터 뒤통수를 맞을 위험이 항상 있다”면서 “야3당 공조에 더 이상 미련을 둬서는 안 된다”고 했다. 보수 민심이 강경 투쟁을 지지한다는 주장도 있다. 다른 의원은 “국민의당, 바른정당과 함께 묶여 있으면 차별성이 없다”며 “야3당 공조에서 발을 빼고 한국당을 지지하는 보수 민심을 위해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문 대통령의 일방통행에는 강력 비판하면서도 장외투쟁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바른정당 고위 관계자는 “장외투쟁을 잘못 주장했다가 한국당과 같은 당이라는 비판을 들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