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銀 사실상 인터넷전문銀으로

입력 2017-06-15 18:26
한국씨티은행이 ‘사실상 인터넷전문은행’의 길을 걷는다. 공인인증서 없이 거의 모든 은행업무가 가능한 인터넷뱅킹 서비스를 출시했고, 영업점포 통폐합도 강행키로 했다. 하지만 노조는 반발하고 있고, 일부 여당 의원도 동참했다.

씨티은행 박진회 행장은 15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씨티 뉴(NEW) 인터넷뱅킹’을 선보였다. 공인인증서 없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만으로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PC 등 모든 기기에서 금융거래가 가능하다. 기기에 맞춰 콘텐츠 사이즈 등을 자동 조정해주는 ‘반응형 웹기술’도 탑재했다. 통장 개설 같이 물리적 제약이 있는 업무를 뺀 800여 가지 은행업무를 인터넷으로 해결할 수 있다.

씨티은행은 전국 133개 지점을 32곳으로 통폐합하는 전략도 고수한다고 밝혔다. 박 행장은 “5년 후면 지점 방문 비율이 2% 미만일 것”이라며 “익숙한 불편함에서 벗어나 낯선 편리성을 구현해보겠다는 소박한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인력 구조조정과 ‘한국 철수설’에 대해선 부정했다. 박 행장은 “앞으로 몇 번을 말해야 믿을까 모르겠지만 믿을 때까지 말하겠다. 인력 구조조정은 없다”고 강조했다. 또 국내시장 철수 가능성에 대해서도 “점포를 줄이는 것과 철수는 상관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와의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고 있다. 금융노조와 씨티은행노조는 이날 여당 의원 8명과 함께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점포 폐쇄 중단과 노조와 대화에 나설 것을 사측에 촉구했다. 이들은 “사측의 계획대로라면 충청도 경남 울산 제주도엔 씨티은행 점포가 하나도 남지 않게 된다”며 “시중은행으로서의 공공성을 저버리고 국민들에게 피해를 전가하는 무책임한 시도”라고 비판했다.

또 노조는 “비대면 전략의 근거로 사측이 제시하는 ‘95%의 업무가 비대면으로 이뤄진다’는 주장이 과장됐다”고 지적했다.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처리 비중(35%)을 고려하면 영업점포 폐쇄 시 고객의 피해는 예상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