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동연 경제부총리, 총장 재직 당시 아주대 ‘장학금 이중지원’ 적발… 돌연 “문제 없다”

입력 2017-06-15 05:02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총장으로 재직했던 아주대에서 장학금 오(誤)지급 의혹이 적발됐지만, 김 부총리 지명 이후 “별문제가 없다”고 처리됐던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뒤늦게 오지급 의혹이 제기되자 교육부는 감사에 착수했다.

한국장학재단(이하 재단)은 ‘2016년 국가장학금 지원사업 대학 현장모니터링 대상’으로 아주대를 선정해 5월 17일부터 19일까지 현장조사했다. 당시 아주대 총장은 김 부총리였다. 재단은 아주대의 장학생 선발·운영규정 준수 및 회계관리, 사후관리 등을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2015년 국가장학금 1억4800만원이 이중 지원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발견됐다. 아주대 관계자들도 ‘감사가 끝나는 대로 반환조치하겠다’고 조사팀에 구두로 약속했다.

재단 현장조사 종료 이틀 뒤인 5월 21일 문재인 대통령은 김 총장을 부총리 후보로 지명했다. 그 후로 재단은 지난 1일 아주대에 ‘장학생 선발 및 회계관리 등이 양호하다’는 조사 결과를 통보했다. 장학금 오지급 문제에 대한 지적은 없었다. 아주대의 장학금의 반환약속도 지켜지지 않았다.

국민일보는 지난 5일 재단에 관련 사실 확인을 요청했고, 재단은 뒤늦게 자체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진상 파악에 나섰다. 그 결과 재단의 경기센터 현장점검팀이 아주대의 장학금 오지급 내역을 파악해 센터장에게 보고했지만, 센터장이 이를 경미한 사안으로 판단했다는 정황이 확인됐다. 이 센터장은 ‘장학금 오지급 지적사항이 누락됐다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한 채 공문을 결재했다’고 조사위에 밝혔다고 한다. 조사위는 이외에도 아주대가 성적미달자 6명을 잘못 선발해 1100만원의 장학금이 오지급된 부분도 추가로 확인했다.

재단의 현장조사와 통보가 진행되는 동안 아주대 총장직을 유지했던 김 부총리는 지난 2일 아주대에 사표를 제출한 뒤 7일 인사청문회를 거쳐 9일 임명됐다. 김 부총리 재임시절 장학금 오지급 조사 결과가 뒤바뀐 사실이 알려졌다면 청문회 과정에서 논란이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재단의 진상파악 시기와 청문회 일정이 겹치며 이 문제는 청문회에서 다뤄지지 않았다.

조사위는 해당 센터장의 진술에 합리성이 결여됐다고 판단해 교육부에 정식 감사를 요청했다. 점검결과 드러난 문제점을 특별한 이유 없이 결과 통보에서 제외했고, 오지급된 장학금 액수가 1억원이 넘는 심각한 문제를 ‘경미한 일’로 판단했다는 해명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였다. 한국장학재단 관계자는 “현장 모니터링 과정에서 재단 직원의 업무과실로 발생된 문제로 보인다”며 “교육부 감사에 따라 후속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학금 오지급 조사결과가 실무자를 거쳐 김 부총리에게까지 보고됐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학사업무의 최종 결정권자인 총장이 외부 조사에서 적발된 장학금 오지급 문제를 보고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1억원이 넘는 돈을 학교가 반환해야 한다면 총장 보고절차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국민일보는 김 부총리에게 연락을 시도했으나 닿지 않았다. 아주대 측은 “오지급 금액 중 1억3900만원은 생활비장학금으로 지급돼 이중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며 “재단에 증빙서류를 제출하겠다”고 설명했다.

글=노용택 기자 nyt@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