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춘 해수부 장관 후보자 “세월호 추모시설, 4·16재단 설립… 물동량 확보로 해운산업 위기 극복”

입력 2017-06-14 18:29 수정 2017-06-14 21:36

김영춘(사진)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세월호 수색을 조속히 완료하고 추모시설과 ‘4·16재단’을 설립하겠다고 약속했다. 해운산업을 재건해 해양수산업의 국내총생산(GDP) 기여율을 1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포부도 내놨다.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서 김 후보자는 “세월호 참사 등 연이은 해양사고와 세계적 선사인 한진해운의 파산, 바닷모래 채취를 둘러싼 갈등으로 해수부는 국민들께 많은 실망을 안겨 드렸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진해운 파산으로 촉발된 해운업 위기 관련 청문위원들의 질의에 김 후보자는 “국적해운 선사들의 선박량과 물동량을 복구하는 작업부터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또 문재인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선박금융해양공사’가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던 해운 복구책들을 종합해 해운·항만·조선업계의 선순환적 발전으로 이어지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자는 “세월호 수색을 서둘러 모든 미수습자를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낼 수 있도록 하고 추모시설과 재단 설립 등 후속조치를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해양안전 취약요소를 직접 점검하는 등 사고방지책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3월 31일 우루과이 해역에서 침몰한 스텔라데이지호 사고와 관련해서는 조기 수색이 가능하도록 수색선박 2척을 추가로 파견하는 안을 검토하겠다는 답을 내놨다.

김 후보자는 바닷모래 채취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불가피한 경우라도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앞서 해수부는 지난 2월 국토교통부의 남해 바닷모래 채취연장 신청에 대해 요구량의 절반 수준인 650만㎥를 1년간 채취할 수 있도록 허용해 전면금지를 요구한 수산업계 반발을 샀다.

정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