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포커스] ‘남북정상회담’ 주역, 통일장관 오르다

입력 2017-06-14 00:00

2012년 대선 당시 서해 북방한계선(NLL) 남북 정상 대화록 폐기 논란의 주연이었던 조명균(60) 전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비서관이 통일부 장관으로 복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조명균 장관 후보자를 비롯해 4명의 장관을 추가 지명했다.

조 후보자는 2007년 10·4 남북정상선언을 성사시킨 주역으로 남북 관계에 정통한 통일부 관료 출신이다. 김대중·노무현정부에서 통일부 교류협력국장, 경수로사업지원기획단 정책조정부장, 개성공단사업지원단장 등을 역임했다. 2002년 4월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이 대북 특사로 방북했을 때 서훈 현 국가정보원장 등과 동행해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에 배석했다. 문재인정부에서 대북 정보를 수집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국정원과 통일부 최고위직에 당시 멤버들이 동시에 임명된 셈이다. 문 대통령의 대북 유화 기조를 증명하는 인사로 해석된다.

조 후보자는 2007년 10월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 2차 정상회담에 회담 기록을 위해 배석했다. 그는 2007년 10월 6일 자신의 메모와 녹음 파일 등을 기초로 작성한 회의록 초본을 백종천 당시 안보정책실장 결재를 거쳐 노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이후 초본을 첨부한 문서관리 카드를 삭제했다. 2012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유출 파동이 불거지자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은 백 전 실장과 조 후보자를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도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두 사람을 기소했다. 하지만 법원 1, 2심은 모두 “초본은 대통령기록물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무죄를 선고했고, 현재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조 후보자가 장관에 임명되면 정세현 전 장관에 이어 통일부 출신의 두 번째 장관이 된다. 조 후보자는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 임기 중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남북관계와 한반도 문제를 푸는 데 필요하면 추진해나갈 문제”라고 말했다. 개성공단 문제에는 “개성공단은 재개돼야 한다”고 단언했다.

다만 조 후보자는 이명박정부 출범 직후인 2008년부터 공직에서 물러나 사실상 ‘은둔생활’을 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친노 인사들은 그를 “은둔의 기인”이라고 불렀다. 9년의 공백 때문에 현안이 산적한 통일부 장관직에 대한 감각이 무뎌졌을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조 후보자는 경기도 의정부 출신으로 행시 23회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조 후보자에 대해 “남북회담 및 대북 전략에 정통한 관료 출신으로 새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 문제 현안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인선 배경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는 부산 출신 유영민(66) 포스코경영연구소 사장을 지명했다. 박 대변인은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가 연구·개발 체제 혁신 등 성장동력을 마련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는 전남 완도 출신 김영록(62) 전 국회의원을, 여상가족부 장관에는 부산 출신 정현백(64) 성균관대 교수를 각각 발탁했다. 김 후보자는 완도군수와 전남도 행정부지사를 거쳐 18, 19대 의원을 역임했다. 정 후보자는 시민운동가이자 역사학자다. 이날 인사로 전체 17개 부처 중 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 장관 및 정부조직법 개정 후 신설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만 공석으로 남게 됐다.

강준구 조성은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