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사업자가 시설투자부터 관리운영까지 책임짐으로써 재정부담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민영 공유자전거가 경기도에서 전국 처음으로 선보인다.
수원시는 7월부터 첨단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한 무인대여 공유자전거 시스템을 ‘민간사업자 운영방식’으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13일 밝혔다. 이 방식은 자전거에 GPS와 스마트폰 앱으로 작동되는 자동 잠금장치 등이 내장돼 있어 자전거 거치대와 무인 안내 및 결제시스템으로 구성된 이른바 도킹 스테이션이 없어도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이용자는 눈에 띄는 자전거를 곧바로 이용하거나 스마트폰 앱으로 주변의 자전거를 검색해 찾은 다음 자전거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해 무선통신으로 잠금을 해제하면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한 뒤에는 시내 곳곳에 마련된 노면 표시 주차공간에 자전거를 반납하면 된다.
수원시는 당초 공공자전거 추진계획을 공유자전거시스템으로 전환해 공공자전거 3000대 기준 초기설비 구축비 57억원과 연간 운영비 17억원 등 모두 74억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중국에서는 모바이크(Mobike)라는 민간 회사가 이 같은 방식으로 상하이를 비롯한 주요 도시에 495만대의 공유자전거를 설치해 운영하는 등 민영 공유자전거 시스템이 자리잡고 있다.
의정부=김연균 기자
재정부담 없는 ‘민영 공유자전거’ 첫 선
입력 2017-06-13 2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