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가뭄 근본 해결 ‘가래’ 들었다

입력 2017-06-13 18:22
지자체들이 매년 반복되는 가뭄 피해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수립에 골몰하고 있다. 단기 처방을 벗어나 빗물·하수 재활용 시설과 양수장 설치, 관정개발, 용·배수로 정비, 물순환 도시 조성을 통해 물 부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다.

13일 정부와 지자체들에 따르면 5월말 현재 전국 평균 강수량은 155㎜로 예년의 60% 수준에 불과하다. 저수율이 30%도 되지 않는 댐과 저수지가 많아 농업용수뿐 아니라 생활용수 부족까지 현실화되고 있다.

33개 시·군 가뭄 주의 단계 발표

국민안전처는 지난 11일 ‘6월 가뭄실태 및 예·경보’ 발표를 통해 경기도와 전남, 충남·북, 경북지역 33개 시·군을 ‘가뭄 주의 및 심함’ 단계로 발표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가뭄 주의단계 이상 지역을 중심으로 중·장기 용수 확보대책을 다양하게 추진 중이다.

86개 용·배수로 23.9㎞ 정비

경기도는 449억원의 예산을 근본적 가뭄대책 마련에 투입한다. 우선 화성·안성시 등 19개 시·군 86개 용·배수로 23.9㎞의 수리시설을 정비하기로 했다. 용수손실을 막고 영농급수와 물 관리가 원활하도록 돕는 것이다. 경기 오산시는 하수를 재처리한 뒤 인근 공업단지 입주업체에 저렴한 가격에 공업용수로 공급, 자연환경도 보호하고 세외수입도 올리는 일석이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섬 주민 위해 해수담수화시설 설치

인천시는 먹는 물이 없어 고통을 호소하는 소연평도와 소청도 주민들을 위해 오는 10월까지 해수담수화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강원도는 172억원을 들여 가뭄 대비 관정 352공, 양수장 4곳, 저수지 준설 18곳, 웅덩이·들샘 81곳, 물탱크 5개 등 용수개발에 적극 나섰다.

‘빗물마을’ 운영… 대상 확대 추진

서울시는 하수도에 버려지는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빗물마을’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 시내 3곳에 친환경적 물순환이 이뤄지도록 하는 빗물 관리시설을 설치한 데 이어 올해도 사업대상을 물색하고 있다

광주·대전·울산광역시 등 환경부가 선정한 물순환 선도도시 역시 빗물 순환을 도시개발 이전의 자연상태와 유사하게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아스팔트처럼 빗물 흡수를 막는 면적을 최대한 줄이는 대신 빗물이 땅속으로 원활히 침투해 흐를 수 있도록 친환경 빗물관리를 하는 것이다.

금강 물, 예당저수지로 공급

충남도는 금강 공주보에서 충남 예산군 예당저수지로 금강 물을 공급하는 도수로 공사를 7월 초 마무리하고 7월 중순부터 가동할 계획이다. 공주보-예당지 도수로는 28.3㎞ 구간으로 금강 물이 하루 7만t씩 공급될 예정이다.

기상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 등 기후여건 변화에 따라 가뭄이 해마다 반복될 우려가 높다”며 “선제적 대응과 수자원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지자체들이 근본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대전·수원=장선욱 정재학 강희청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