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장관에 안경환 서울대 명예교수가 지명되면서 법무·검찰의 양대 수장 가운데 검찰총장 임명 문제만 남겨두게 됐다. 안 후보자는 12일 “검찰총장은 검찰 출신이든 아니든 15년 이상 법조 경력이 있으면 된다”며 “그 원칙을 살려가면서 너무 경직되지 않게 현실과 이상을 조화해서 인사를 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총장은 법무부 장관과 ‘한 세트’로 고려될 거란 관측이 많다. 장관에 누가 앉느냐에 따라 호흡을 맞출 검찰총장 후보군도 영향을 받는 구조다. 안 후보자는 국내 변호사 자격증이 없는 비(非)법조인이며, 출신지는 경남 밀양이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도 비법조인에 부산이 고향이다. 법조계에서는 이에 따라 검찰총장의 경우 부산·경남(PK) 이외 지역 출신의 전현직 검찰 간부가 맡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한다.
사정라인 지휘부인 민정수석과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모두 검찰 실무 경험이 없다는 점에서 원활한 개혁 작업과 검찰 조직 안정 등을 위해 이들을 보완하는 인사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는 뜻이다.
검찰 외부 인사로는 전남 순천 출신 소병철(59·사법연수원 15기) 전 법무연수원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소 전 원장은 이미 두 차례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가 추천한 총장 후보 3인에 포함됐었다. 2013년 12월 퇴임한 뒤 농협대 석좌교수로 강단에 서 왔다. 현직 검찰 간부 중에는 김희관(54·17기·전북 익산) 법무연수원장, 문무일(56·18기·광주) 부산고검장이 후보군에 든다. 강원도 출신 법조인들의 좌장격인 오세인(52·18기) 광주고검장도 물망에 올라 있다.
임수빈(56·19기·서울) 변호사 깜짝 발탁 가능성도 있다. 그는 2008년 광우병 파동 당시 MBC PD수첩 제작진 기소에 반대하며 지휘부와 갈등을 빚다 검찰을 떠났다. 처사촌이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기도 하다.
검찰총장은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검찰총장후보추천위에서 3명 이상의 후보자가 추려지면 법무부 장관이 1명을 대통령에게 제청하는 절차를 거쳐 지명된다. 한편 청와대는 경찰 측에 차기 검찰총장 후보군에 속한 전·현직 검사 관련 기초 인사자료 검증과 세평(世評) 수집 등을 지시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검찰총장, 호남 출신의 전현직 검찰간부 유력
입력 2017-06-12 18:25 수정 2017-06-13 0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