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야당은 12일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문재인 대통령의 전날 인선을 “보은인사, 코드인사”라고 혹평했다. 인사청문 경색 정국이 이어지면서 새로 지명된 후보자들의 인사청문 절차도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원내대표)은 국회에서 열린 의원전체회의에서 장·차관 인선을 언급하며 “한마디로 장관은 ‘선거 보은인사’ 차관은 ‘코드인사’”라고 비판했다. 김상곤 후보자나 송영무 국방부 장관 후보자,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등이 모두 대선 때 선거캠프에 몸담았던 인사라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그는 또 “환경부 장·차관이 모두 시민단체 출신”이라며 “코드인사와 ‘편 가르기 인사’가 현실화되고 있다. ‘3철(전해철·양정철·이호철) 은퇴 선언’이 무색해졌다”고 강조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 권한대행(원내대표)도 비상대책회의에서 “11개 장관급 후보자 중 9명이 대선 공신”이라며 “대통령이 그렇게 강조하던 대통합과 대탕평은 어디로 갔느냐”고 비난했다. 그는 이어 “개혁과 적폐청산이라는 명분으로 코드가 맞는 전교조·운동권·시민단체 출신들만을 골라 보은인사 격으로 요직에 앉혔다”며 철저한 검증을 예고했다. 야권에서는 김상곤 후보자의 박사논문 표절 의혹, 송영무 후보자의 전역 후 고액의 법무법인 고문료 수수 의혹 등이 검증 대상으로 거론된다.
청와대가 일부 후보자의 음주운전과 위장전입 사실을 미리 공개한 데 대한 날선 비판도 쏟아졌다. 정 권한대행은 “청와대에서 자랑이라도 하듯 위장전입과 음주운전 전력을 선제적으로 공개하는 게 무슨 면죄부라도 주겠다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현재 한국당 정책위의장도 “문 대통령이 스스로 약속한 ‘5대 비리’에 해당하는 사람까지 버젓이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것은 국민을 철저히 무시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3철 은퇴선언 무색” “대통합·대탕평 어디로”… ‘고난의 청문회’ 계속?
입력 2017-06-12 1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