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깜빡이’… 이주열 “통화정책 완화 필요”

입력 2017-06-13 05:03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깜빡이를 켰다. 경기 회복세가 이어진다는 전제 하에 통화정책의 긴축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고 이주열(사진) 한은 총재가 공식 언급했다. 저성장 탈출을 위해 연 1.25%의 역대 최저금리를 1년째 유지해왔던 한은이 당장은 아니지만 금리 인상 가능성에도 대비하라는 정반대 사인을 시장에 보낸 것이다.

이 총재는 12일 한은 창립 67주년 기념식에서 “경제 상황이 보다 뚜렷하게 개선될 경우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며 “그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현재 금리가 바닥임을 인정한 지난 4월과 5월 금융통화위원회 발언에서 긴축 쪽으로 한 발 더 옮겨간 것이다. 통화담당 윤면식 부총재보도 “총재의 메시지는 반걸음 정도 더 나아간 것”이라고 했다. 이제부터 금리 인상 시나리오도 함께 선택지에 넣고 보겠다는 의도다.

이 총재의 발언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6월 기준금리 인상 결정을 사흘 앞두고 나왔다.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한국시간으로 15일 새벽 정책금리를 연 0.75∼1.0%에서 연 1.0∼1.25%로 올릴 게 확실시된다. 이 경우 금리 상단이 우리의 기준금리와 같아져 외국인 투자자금의 일부 유출이 나타날 수 있다. 한은은 대규모 외인 자금 이탈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9월 이후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이나 보유 자산 축소로 긴축 구조가 심화되면 우리도 금리 인상 기조로의 전환 압박을 받게 된다.

다만 한은이 이른 시일 내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낮다. 수출과 투자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유가 하락과 소비 부진으로 올해 3% 성장률 달성이 쉽지 않다는 관측이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