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고대 가야사(史) 연구와 복원을 지시한 이후, 관련 지방자치단체들이 가야사 복원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 지자체들은 가야가 그동안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며 ‘특별법’ 제정을 위해 협력하는 정부 정책에 보조를 맞추고 있다.
12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경남도는 전담부서 신설을 검토하는 등 가야사 복원사업에 적극적이다. 경남도는 가야 유적 42곳 중 29곳이 도내에 있어 복원사업이 경남을 중심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고 특별법 제정을 포함한 6개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가야 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김해 가야역사문화도시 지정·육성, 가야사 2단계 조성사업, 가야권 유물·유적 발굴조사, 함안·합천 가야문화 관광단지 조성 등을 관련 국정과제에 반영해줄 것을 정부에 건의했다. 가야사 복원사업은 소외된 가야 역사를 재조명하는 것은 물론 영호남 화합의 의미도 있어 국정과제에 포함될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금관가야 왕도인 경남 김해시도 가야사 복원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시는 가야역사문화도시 지정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가야사 2단계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허성곤 시장은 “문 대통령의 가야사 복원 방침을 환영하며, 제대로 된 역사 발굴과 복원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600년 전 대가야 도읍지였던 경북 고령군도 벅찬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고령군은 매년 봄 ‘대가야체험축제’를 여는 것을 비롯 2015년 고령읍의 지명을 ‘대가야읍’으로 바꾸는 등 가야 역사와 문화를 지키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군 관계자는 “704기의 고분이 있는 지산동 고분군을 세계유산 목록에 올리는 등 가야 역사를 제대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북도와 남원시·장수군도 1500여 년 전 화려했던 철기문화를 제대로 알리겠다고 준비하고 있다. 남원에서는 왕릉급 봉분 100기와 가야권 처음으로 금동신발 등 유물 100여점이 출토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장수에서는 왕릉급 봉분 250기는 물론 봉수대까지 확인됐다.
두 지자체는 전북지역 가야사 발굴·복원 작업이 고대사를 연구·조명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10월쯤 가야국제학술대회를 여는 등 공동 사업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환주 남원시장은 “정부 정책에 발맞춰 체계적으로 발굴·복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남원·고령=김용권·김재산 기자, 전국종합 ygkim@kmib.co.kr
정부 등에 업고… 지자체 가야史 복원 ‘속도’
입력 2017-06-13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