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시설물 관리 선제적 대응 전환

입력 2017-06-12 21:37
교량과 터널, 상하수도 관로, 건축물 등 서울 전체 도시인프라의 70% 이상은 1970∼80년대 압축성장기에 집중적으로 건설된 것들이다. 시설물 노후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사고나 결함 가능성이 높아지고 유지보수 및 관리비용도 급증할 수밖에 없다.

서울시는 노후 도시인프라의 급증에 따른 안전 위협과 미래 재정적 압박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서울 인프라 다음 100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시설물 관리를 단기적 유지보수나 사후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중장기적·선제적 대응 방식으로 대전환하는 게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시는 30년이 넘은 시설물 전체에 대해 실태평가보고서 작성을 의무화하고 5년 주기로 업데이트할 방침이다. 또 노후 기반시설에 대한 연차별 투자계획을 담은 종합관리계획을 2020년 6월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안전총괄본부가 컨트롤타워가 돼 빅데이터 분석 등 최신 ICT기술을 접목, 시설별로 최적의 보수·보강 시점을 예측하고 적기에 재정을 투입할 방침이다. 시는 이처럼 미래예측모델을 적용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경우 교량(358개)만 놓고 보더라도 2030년까지 총 8287억원의 예산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봤다.

시는 선제적 유지관리에 2022년까지 약 7조600억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 가운데 86%인 6조609억원은 자체적으로 마련하고 1조원(14%)은 국고보조를 통해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현 시점의 안전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기술, 제도, 재정 등 시스템 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시민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중앙부처 및 유관기관과 적극 협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