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장 후보자 한승희, 대기업 등 탈세 단속 지휘한 ‘조사통’

입력 2017-06-11 18:27 수정 2017-06-11 21:11

한승희(56) 국세청장 후보자는 자타 공인 ‘조사통’이다. 대기업·고소득자의 탈세와 불법적인 부(富)의 대물림 척결에 대한 새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후보자 지명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한 후보자는 서훈 국정원장 후보자에 이어 4대 권력기관장 중 두 번째로 지명됐다. 검·경 수사권 조정, 검찰 개혁 등 민감한 사안이 걸려 있는 검찰총장과 경찰청장 인사에 앞서 두 후보자 모두 내부 출신으로 조직 안정을 꾀하려는 청와대 의중이 엿보인다. 특히 경기도 출신 한 후보자와 서울 출신 서 후보자를 감안하면 나머지 2개 권력기관장 임명에서 청와대가 영호남 지역 문제에 한결 부담을 덜 것으로 예상된다.

조세정의 실천을 공약으로 내건 문재인정부로서는 조사 역량을 강화하면서 조직 안정을 꾀하는 데 적임자로 한 후보자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한 후보자는 행정고시 출신으로는 드물게 본청 조사팀장, 본청 조사기획과장, 대구청 조사1국장, 서울청 조사4국장 등 본청과 지방청의 조사 관련 요직을 섭렵해 세무조사 이론과 실무에 밝다는 평가다. 특히 본청 조사국장을 최장인 2년4개월이나 맡으면서 역외탈세, 대기업·대재산가 변칙적 탈세 등을 엄정히 조사해 성과를 일궜다.

한 후보자는 국세청이 권력기관의 이미지를 벗고 서민을 위한 서비스 기관으로서의 국세청 모습을 강화하고, 일자리 정책을 측면에서 지원하는 중책도 떠안고 있다. 서울청장으로 재직하면서 관리자로서도 인정받았다. 풍부한 현장조사 경험에서 비롯되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업무효율성을 높이는 현장중시형·실무형 관리자로 알려져 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11일 “한 후보자 별명은 소통의 달인”이라며 “풍부한 현장 경험과 진정성 있는 소통이 최대 강점”이라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행시 33회인 한 후보자가 임명되면서 상급기관인 기획재정부 세제실과 소통이 어려워지지 않겠느냐는 우려도 있다. 기재부 최영록 세제실장은 행시 30회로 한 후보자보다 3기수 위다.

△경기도 화성 △고려고 △서울대 경제학과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장 △국세청 조사국장 △서울지방국세청장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