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 규모 대비 가계부채 비율 증가 속도가 지난해 세계 3위를 기록했다. 지난 정부에서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완화하는 등 가계부채가 늘도록 방조한 결과다. 과도한 빚 부담이 내수 확대를 막아 성장률을 끌어 내릴 정도에 처한 한국경제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11일 국제결제은행(BIS)의 집계를 보면, 2016년 말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2.8%로 1년 전인 2015년 말 88.1%에서 4.7% 포인트 증가했다. 증가폭만 놓고 보면 노르웨이(6.3% 포인트)와 중국(5.6% 포인트)에 이어 주요 43개국 가운데 세 번째다.
경제 규모가 커질수록 가계부채는 늘어나기 마련이지만 속도가 문제다. 한국의 전년 대비 가계부채 증가폭은 2014년까지만 해도 1.9% 포인트로 정상적 수준이었는데, ‘빚내서 집 사라’ 정책이 본격 실시된 2015년엔 3.9% 포인트로 급증해 주요국 4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지난해 말 기준 달러화로 환산한 한국의 가계부채는 1조2630억 달러 규모였고,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산한 한국의 명목GDP는 1조4044억 달러였다. 가계부채와 GDP의 갭이 1414억 달러에 불과해 이대로라면 곧 가계부채가 경제 규모를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79.5%) 유럽연합(58.6%) 일본(62.5%) 등 주요국에 비해 과도하다.
세계에서 경제규모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128.4%)였다. 이어 호주(123.1%) 덴마크(120%) 네덜란드(109.6%) 노르웨이(101.6%) 캐나다(101%) 뉴질랜드(94%) 순이다. 한국(92.8%)은 8위를 기록했다. 글=우성규 기자, 그래픽=이은지 기자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증가 속도 작년 주요 43개국 중 세 번째 기록
입력 2017-06-12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