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지지자들의 문자메시지 공격이 위험 수위를 넘어섰다. 7일 열린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계기가 됐다. 한 국민의당 의원은 강 후보자에게 외교부 개혁 과제 1호를 물었다가 1000여통의 문자메시지에 시달려야 했다. 입에 담기 어려운 저급한 욕설이 주를 이뤘다고 한다. 사드 배치 견해를 질의한 자유한국당 의원에겐 “네 아들이 밤에 어느 길로 다니는지 알고 있다”고까지 했다. 국민의당 홈페이지는 접속자가 몰리면서 이틀 연속 다운되기도 했다. 앞선 청문회에선 신상 검증 발언에만 한정됐다면 이젠 일반 정책 질의에도 문자 폭탄이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 정도면 문자 폭탄이 아닌 문자 테러 수준이다.
이들의 공격 수위가 높아진 데 있어 여권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일종의 양념 같은 것”이라며 가벼이 대처했다. 여당은 한술 더 떠 문자 폭탄을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형태’라며 부추기기까지 했다. ‘문자 행동’ 등으로 바꿔 부르자고 자신 있게 제안할 정도다.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디지털 테러에 대한 문 대통령과 여권의 안이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문 대통령과 여권은 문자 폭탄이 후보자 자질을 검증하는 국회 본연의 활동을 침해하는 반민주적 폭력 행위임을 올바르게 인식해야 한다. 국민과의 소통을 가로막는 적폐 행위이기도 하다. 특히 국제전화용 발신 번호가 많다는 점은 외국 서버를 통해 조직적으로 문자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범죄의 냄새마저 풍긴다. 국민의당이 오죽했으면 문자 폭탄 태스크포스까지 구성해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했겠는가. 여권은 문자 폭탄을 방치해선 안 된다. 자제를 촉구하는 등 근절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언젠가 부메랑이 돼 문재인정부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
[사설] 여권, 문자폭탄 근절에 적극 나서야
입력 2017-06-09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