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김동연 강경화 김상조 후보자 등 문재인정부 초대 내각 후보자 3명과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을 위한 ‘정면 돌파’ 방침을 정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직접 전방위 야당 설득작업에 나서 현 국면을 헤쳐 나가겠다는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8일 일제히 야당을 향해 인사청문회 협조를 당부했다. 추미애 대표는 당 의원총회에서 “야당 입장에서는 1∼2명 낙마시켜야 체면이 산다고 생각하지만 지금은 대승적 차원에서 국정 안정에 협력하는 것이 국민으로부터 박수 받을 수 있는 진정한 야당의 역할”이라며 “야당의 전향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우원식 원내대표도 “전날 세 후보자 청문과정에서 국민은 후보자의 자질과 역량을 충분히 검증했다”며 “여당의 눈이 아니라 국민의 눈으로 그만하면 합격점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무조건 반대는 국정공백 장기화 해결을 바라는 국민 기대를 저버리는 것”이라며 “청문과정에서 세 분이 각 분야 수장으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게 국민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여권은 4명의 후보자 모두 인사청문 과정에서 여론을 흔들 만한 결정적 하자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김이수 헌재소장 후보자를 제외한 3명의 후보자는 국회가 청문보고서를 채택하지 않더라도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할 수 있다. 최대한 야당을 설득하고 협치하는 모습을 보이며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해 임명의 명분을 쌓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청와대가 정무라인을 총 가동하고, 문 대통령이 여야 상임위원장 등을 직접 만나기로 한 것 역시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오는 12일 국회에서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협조를 당부하는 시정연설도 진행한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야권에 국정에 협력해 줄 것을 당부할 예정이다. 우 원내대표는 “다소 아쉬워도 끝까지 대화와 타협 속에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까지 4명의 청문경과심사보고서를 채택해서 임명동의안이 관철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협치는 포기할 수 없는 여당의 국정운영 철학으로 대화와 타협은 끝까지 하고 성심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전향적 협조 부탁… 국민의 눈으로 봐달라” 靑·與 ‘읍소전략’
입력 2017-06-08 18:14 수정 2017-06-08 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