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진을 받은 6개 지역의 가금류 이동이 완전 봉쇄된다. 하지만 해당 지역 내 소규모 농가의 AI 전파가 끊이지 않고 있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여기에다 이례적인 ‘여름 AI’와 관련해 AI 바이러스의 변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8일 고병원성 AI가 확인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가금류 반출을 금지했다. 대상 지역은 전북, 제주도, 경기도 파주시, 경남 양산시, 부산 기장군, 울산 남구·울주군이다. 전북과 제주는 의심 신고가 속출해 광역도 수준에서 가금류 반출을 막기로 했다. 도축장에서 출하하는 가금류와 부화장에서 갓 나온 병아리는 방역 조건을 준수했을 경우 반출을 허용한다. 중장기적으로 전통시장에서 살아 있는 닭의 유통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가 잇따라 고강도 ‘봉쇄책’을 내놓고 있지만 AI 의심 사례는 늘고 있다. 이날 봉쇄 지역인 전북 군산·익산시와 임실군에서 모두 6건의 추가 의심 신고가 들어왔다. 이들 농가는 토종닭을 4∼30여마리 키우는 소규모 농가다. 방역 당국은 고병원성 여부를 조사 중이다.
전문가들은 2014년과 2015년에 이어 다시 여름철에 AI가 확산된 것은 사실상 ‘AI 상시 발생’이라고 본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이번에 퍼진 H5N8형은 전파가 느린 편인데 이 점을 간과했다”고 말했다.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쳐 기후·환경에 적응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공구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는 “사실상 ‘잔불 처리’가 안 된 것”이라며 “AI 바이러스가 변종일 가능성도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AI 확진 지역 가금류 반출 원천 봉쇄… ‘변종’ 가능성
입력 2017-06-08 18:40 수정 2017-06-09 0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