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공동구매를 늘려 원부자재 공급가를 낮추려면 공동구매 전용보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용보증이란 협동조합이 원부자재 공동구매를 원하는 개별 중소기업에 발급되는 보증서를 모아 공동구매에 나설 수 있도록 한 보증 형태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22∼31일 704개 중소기업협동조합과 1002개 중소기업 조합원사를 대상으로 ‘공동구매 전용보증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65.1%가 “공동구매 확대를 위해 공동구매 전용보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고 7일 밝혔다.
현재 신용보증기금이 운영하는 전자상거래보증은 구매기업과 판매기업 일대일로 보증이 발급되는 구조로 중소기업 공동구매가 불가능하다. 중소기업계는 공동구매가 가능토록 공동구매 참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보증을 발급하고, 협동조합은 보증서를 취합해 공동구매를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전용보증을 신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공동구매를 하는 조합 70.2%는 “전용보증이 도입되면 공동구매를 평균 19억7815만원 늘리겠다”고 대답했다. 공동구매를 하지 않는 조합의 73.9%는 “전용보증이 도입되면 평균 7억251만원 규모의 공동구매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中企 65% “공동구매 전용 보증 도입을”
입력 2017-06-07 1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