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7일 경남 거제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토지 매입은) 남편이 은퇴생활을 유익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강 후보자는 자녀의 위장전입 등 신상 관련 의혹이 제기된 데 대해 공식 사과하면서도 부동산 투기, 세금 탈루 의혹은 적극 반박했다. 북핵 문제와 한·일 위안부 합의 등 외교안보 현안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강 후보자는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저와 제 가족의 사려 깊지 못한 처사로 물의를 일으킨 것에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장녀의 위장전입에도 판단 부족을 인정하며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청문회가 시작되자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서는 적극 반박했다. 두 딸 명의로 된 거제 땅의 공시지가가 3년 사이 73배나 뛰었다는 지적에 강 후보자는 “남편의 결정으로 진행된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남편은 거제도로 완전히 주민등록을 옮기고 임야를 사서 나무를 심으려고 한 것으로 안다”며 “모든 부분에 세무사의 도움을 받아 일을 진행했다”고 했다.
강 후보자는 2004년 서울 봉천동 주택 3채의 매매가를 실거래가보다 낮게 신고해 세금을 탈루했다는 의혹도 해명했다. 그는 “당시 저는 뉴욕의 한국대표부에서 일했다”며 “어머니가 살고 계신 연립주택을 재건축하는 과정에서 어머니가 제 이름을 대표자에 올려 매도자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매매대금은 시공자가 매수자에게 직접 받아간 것이라 어머니도, 저도 몰랐다”고 덧붙였다.
야당 의원들은 강 후보자의 부동산 거래, 자녀의 출입국 기록 등에 관한 자료 제출을 집요하게 요구했다. 자료 제출 전 회의를 속개하는 문제를 두고 윤영석 한국당 의원과 심재권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사이에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강 후보자는 외교안보 현안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적극 피력했다. 그는 북핵 문제를 외교부의 당면 현안으로 꼽으며 “임명받는 즉시 미국 방문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대북특사 파견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개성공단 재개에는 “북한 비핵화 진전과 국제사회의 대북 기조 변화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후보자는 사드(THAAD) 배치에 대해 “우리 안보를 위한 결정이었다”면서도 “국내 공론화 과정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과의 인식 차이를 언급하며 취임 후 중국에 고위 대표단 파견을 검토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청문회장에 나눔의 집(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서 받은 소녀 형상의 배지를 달고 나온 강 후보자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비판도 쏟아냈다. 그는 “인권유린 상황에서 핵심은 피해자 중심의 법적 책임과 배상”이라며 “이 부분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한·일) 합의서는 불충분했다”고 지적했다. 합의서 내용 중 ‘불가역적·최종적 합의’라는 단어에 대해서도 “군사적 합의에서나 나올 수 있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그는 위안부 문제 해법으로 “피해자 중심 관점에서 지혜를 모아 일본과 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위장전입’ 고개숙인 강경화 “부동산 투기는 안했다”
입력 2017-06-08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