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강경화, 도덕성도 자질도 우려스럽다

입력 2017-06-07 18:27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7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장녀의 위장전입 논란과 세금 탈루 의혹에 대해 사과했다. 강 후보자는 “공직 후보자로서 판단이 매우 부족했던 부분”이라며 “국민들께 진심으로 심심한 사과를 드린다”고 했다. 반면 부동산 투기와 논문 표절 논란은 부인했다. 강 후보자는 시종일관 자세를 낮추며 사과할 것은 사과하고 해명할 것은 강한 어조로 해명했다. 이중국적 자녀를 둔 인사에게 재외공관장직을 맡기지 않는 현행 정부 방침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강 후보자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눈높이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강 후보자는 여전히 몰랐다고 했지만 이화학원의 위장전입 허브 정황이 드러난 ‘정동 아파트’에 대한 궁금증은 현재진행형이다. 일반 국민들에겐 상상할 수 없는 기득권층 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다. 박탈감이 클 수밖에 없다. 장녀 위장전입 거짓 해명 논란과 세금 탈루 부분을 모두 ‘남편과의 소통 부족에서 발생한 일’이라고 전가한 부분도 선뜻 납득하기가 쉽지 않다.

도덕성 문제와 함께 외교 수장으로서 강 후보자의 자질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내정 당시만 해도 신선하다는 평가가 우세했다. 외교부 순혈주의를 깰 수 있는 첫 여성 외교부 장관감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강 후보자는 북핵 및 동맹 외교를 직접 다뤄본 경험이 전혀 없다. 한·미 정상회담이 코앞에 다가왔고, 북한이 연일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현 상황에 제대로 대처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청문회에서 사드 배치에 대해 전략적 모호성을 견지하고, “군사적 합의에서나 나올 얘기”라며 한·일 위안부 합의를 부정한 것은 대통령 발언과 너무 유사하다. 대통령은 책임장관을 강조하는데 그 역할을 할 의사가 없는 것 아닌가 싶다. 한반도를 둘러싼 엄중한 정세를 고려할 때 강 후보자가 외교부 장관 적격자라는 확신을 가질 수 없는 게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