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경제정책의 밑그림을 그릴 청와대 경제보좌관에 김현철(55·사진)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임명됐다. 김 보좌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내세운 국민성장론을 설계한 핵심 브레인이다. 국내에 손꼽히는 저성장 문제 전문가다. 한국경제 위기를 국민과 기업의 동시 성장으로 풀어나가야 한다는 철학을 갖고 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6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김 보좌관에 대해 “한국경제가 당면한 저성장 위기에서 생존 전략을 꾸준히 연구해 온 학자”라며 “일본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 환경에 대한 이해가 풍부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신설된 경제보좌관은 장하성 정책실장 직속이다. 거시경제 상황 점검 및 경제정책 구상 등을 맡는다.
김 보좌관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일본 게이오대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땄다. 한국자동차산업학회장, 한국중소기업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일본에서 이른바 ‘잃어버린 20년’의 처참함을 직접 체험했다.
그는 2015년 7월 낸 저서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에서 불경기 뒤에는 호경기가 이어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버리고 단단한 각오가 필요하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한국경제가 2017년부터 본격 저성장기에 돌입해 2020∼2030년 사이에 제로성장 시대가 올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 책을 읽고 그를 캠프에 영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성장 시대의 기업 혁신 전략을 소개하는 등 경영 전략에도 밝다는 평가다. 김 보좌관은 국민성장론에 대해 기업 성장을 빼앗아 국민에게 돌리자는 것은 아니고, 기업의 성장이 멈춰서는 안 된다고 설명한다. 그는 2015년 11월 국회 강연에서 “정부가 포퓰리즘 정책을 거두고 기업을 살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기업을 살리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었다. 당시 “법인세율 인상이 국내 기업을 망가뜨리고 한국경제에 큰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기업 등 대상 강연에서는 저성장 시대에 정부가 법인세를 올릴 수밖에 없을 것이고, 기업들은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靑 경제보좌관에 김현철, 국민성장론 설계한 J노믹스 브레인
입력 2017-06-06 21:25 수정 2017-06-06 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