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이하 농기원)은 최근 가뭄으로 도내 농작물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가뭄 해제 시까지 가뭄대책 상황실을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농기원에 따르면 올해 도내 강수량은 138㎜로 평년(252㎜)의 54% 수준이며 저수율도 평균 33%로 평년의 절반 수준이다. 이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는 모내기가 지연되고, 물 부족으로 인해 농작물 재배관리에도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농기원은 지난 1일부터 가뭄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시·군농업기술센터와 함께 가뭄극복 담당자를 지정해 현장 기술지원단을 운영하는 등 작물재배관리 기술 지도도 추진하고 있다.
가뭄 피해 최소화를 위해 철저한 농작물 관리도 당부하고 있다. 벼농사의 경우 모내기 후 본 논에 물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인 활착기와 새끼치기 시기에는 논물이 마르지 않도록 하는 한편 밭작물은 토양수분이 부족한 경우 비가 온 후에 파종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파종이 늦은 경우에는 수분증발 등을 억제하기 위해 비닐피복 재배를 하도록 하고, 파종 한계기 이후에도 비가 오지 않으면 대파 작물을 파종하도록 권하고 있다. 농기원 관계자는 “가뭄이 지속될 수 있으니 사전에 정밀한 관찰을 통해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경기도 농업기술원 가뭄대책 상황실 운영
입력 2017-06-06 2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