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얼굴) 대통령이 “애국의 역사를 통치에 이용한 불행한 과거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문 대통령은 6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2회 현충일 추념식 추념사를 통해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공헌하신 분들께서 바로 그 애국으로 대한민국을 통합하는 데 앞장서주시길 간절히 부탁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독립운동가, 한국전쟁 및 베트남 참전용사, 파독 광부를 비롯한 해외 파견 산업인력, 청계천변 다락방 ‘여공’ 등을 언급하며 “애국하는 방법은 달랐지만 그 모두가 애국자”라고 말했다. 특히 독립운동가 후손에 대해서는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한다는 뒤집힌 현실은 여전하다”면서 “후손들이 겪고 있는 부끄럽고 죄송스러운 현실을 그대로 두고 나라다운 나라라고 할 수 없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빼앗긴 나라를 되찾는데 좌우가 없고, 국가를 수호하는데 노소가 없듯 모든 애국의 역사 한복판에는 국민이 있었을 뿐”이라며 “전쟁 후유증을 치료하기보다 전쟁 경험을 통치 수단으로 삼았던 이념의 정치, 편 가르기 정치를 청산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훈이야말로 국민 통합을 이루고 강한 국가로 가는 길임을 분명히 선언한다”며 “애국, 정의, 원칙, 정직이 보상받는 정정당당한 나라를 만들어가자”고 제안했다.
한국전쟁 참전자에 대해선 명시적으로 ‘6·25전쟁’이나 ‘한국전쟁’ 표현을 쓰지 않아 남북관계 복원을 고려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문 대통령은 “가난했던 조국을 온몸으로 감당했던 시절을 회상하는 그분들께 정부를 대표해 마음의 훈장을 달아드린다”고 덧붙였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문재인 대통령 “애국에 좌우 없다”
입력 2017-06-06 18:11 수정 2017-06-06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