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국민인수委에 공 들이는 까닭은?

입력 2017-06-07 05:02
새 정부 출범 후 전국 곳곳에 국민인수위원회 창구가 설치된 가운데 지난 2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공원에 설치된 ‘광화문 1번가’에서 시민들이 정책제안을 접수하고 있다(위쪽). 같은 날 김관용 경북지사가 경북도청 입구에 마련된 ‘신 도청 1번가’에서 도민의 정책제안을 듣고 있다. 최현규 기자, 경북도 제공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국민 참여와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 지시로 전국 지자체 등에 개설된 국민인수위원회 창구가 지역에 따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6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대다수 지역은 한산한 분위기지만 경북도는 도청 본관 앞에 창구를 마련하고 도지사가 직접 정책제안을 접수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도민들의 목소리를 새 정부에 가감 없이 전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북도는 지난 2일 방문객이라면 누구나 거쳐야 하는 도청 본관 앞에 ‘국민인수위원회 in 경상북도, 신 도청 1번가’ 창구를 열었다. 대다수 지자체들이 민원실 구석에 자리를 마련한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새로 지은 경북도 신(新)청사는 평일 2000명, 주말·휴일에는 3000∼4000명이 찾는 지역 관광명소다.

도는 사흘간의 야간작업 끝에 이 창구를 마련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개설 직후 직접 접수 담당 공무원으로 나서 도민들의 정책제안을 접수하고 상담을 진행했다. 이날 제안서를 접수했던 박창호(30·예천군)씨는 “지사가 직접 현장에서 제안을 받아 깜짝 놀랐다”며 “제안이 새 정부에 잘 전달돼 채택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신 도청 1번가’에 매일 2∼3명의 직원을 배치해 제안을 접수하고 상담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관용 지사는 “새 정부가 국민들의 의견을 직접 듣기 위해 마련한 창구인 만큼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며 “본관 앞에 장소를 마련한 것은 새 정부와의 소통에 도민들이 많이 참여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대선 당시 문 대통령 지지도가 가장 낮았던 지역이지만 새 정부 정책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뜻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경북도 외 대다수 다른 시·도에 마련된 오프라인 정책 접수창구는 한산한 편이다. 문 대통령에 열렬한 지지를 보냈던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지난달 29일부터 국민인수위원회 창구를 청사에 설치했지만 시에 접수된 정책제안은 ‘무허가 건물 양성화’를 부탁하는 민원성 제안뿐이다. 5개 자치구도 사정은 비슷하다. 광주광역시 김대중 사무관은 “아직 홍보도 부족하고 채택된 정책제안에 대한 별도 포상이 없어서인지 예상보다 실적이 저조하다”고 말했다.

민원실 등에 창구를 개설한 대전시와 제주도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몇몇 제안이 접수된 경기도에도 내용을 들여다보면 대부분 택지개발 등 민원성이 농후한 것들이다. 광주대 경찰법행정학부 천성권 교수는 “국민인수위원회의 취지는 좋지만 아직 많은 국민들이 잘 모르고 있다”며 “9년 만의 정권교체에 따라 정책제안에 임하는 영·호남 등 지역관가와 시민반응도 엇갈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안동·광주=김재산 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jskimkb@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