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안심센터 205곳, 안심병원 45곳 확충… 청년층 도심 임대주택 2700가구 올해 공급

입력 2017-06-06 05:00

정부가 수도권 지역에 몰려 있는 치매안심센터를 전국 시·군·구까지 확대 구축한다. 또 청년층의 생활 안정을 위해 도심 지역의 임대주택 공급물량을 늘릴 계획이다.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문제와 관련해선 전국 초등학교에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설치하기로 했다.

5일 정부가 발표한 11조2000억원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안 중 20.5% 수준인 2조3000억원은 서민생활 안정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장년층과 청년에 대한 지원을 중심 내용으로 했다.

장년층 생활 안정을 위해서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전국 47곳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를 252곳으로 대폭 확충하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또 34곳에 불과한 치매안심병원을 79곳으로 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 추가 예산으로는 각각 1418억원, 605억원을 배정했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예산총괄심의관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인 치매를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청년층의 생계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임대주택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도심 역세권에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주택 2700가구를 올해 안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 올해 기준 3만7000명인 근로장학생 지원 규모도 7000명을 더 늘리기로 했다.

국민생활 안전 및 에너지 절감 관련 투자도 진행한다. 전국 초등학교에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설치해 실내외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도시철도 승강장에 설치돼 있는 스크린도어의 안전보호벽 개선에도 예산을 투입한다. 에너지 절감과 관련해선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676기를 확충하고, 공공기관의 조명을 에너지 효율이 높은 유기발광다이오드(LED)로 교체키로 했다. 이를 통해 서민생활 안정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일자리 창출까지 꾀한다는 복안이다. 구 심의관은 “현행 20% 수준인 LED 보급률을 80%로 끌어올려 효율을 강화하고 그 과정에서 지역 일자리를 늘리는 효과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