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5년 만에 최대 규모 채용 진행… 자동차업계도 채용 확대·정규직 전환 시동

입력 2017-06-05 00:01

국내 자동차업계가 새 정부 ‘일자리 창출’ 기조에 맞춰 채용 확대에 시동을 걸었다. 르노삼성자동차가 5년 만에 최대 규모 채용을 진행하고 신규 인력 30%를 여성으로 채우기로 했다. 현대·기아차 등도 채용 확대와 비정규직 해소 방안을 검토 중이다.

르노삼성차는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발맞춰 올 하반기 연구소, 관리직, 제조 등에서 120명을 신규 채용키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신규 채용 인력은 모두 정규직이다. 회사는 상반기 채용 인원을 포함하면 전체 임직원(4240명)의 4.7%에 달하는 199명을 올해 새로 채용하게 된다. 르노삼성차는 올 들어 지난 5월까지 상반기 채용을 진행해 79명을 뽑았다. 대부분 연구·개발(R&D) 인력이다.

올해 채용 규모는 지난해의 배 수준으로 최근 5년 사이 가장 많다. 르노삼성차는 2012년 경영 위기를 맞으면서 신규 채용을 중단했다가 2015년 22명 규모로 채용을 재개했다. 지난해에는 중형 세단 SM6,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QM6 등 신차의 성공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낸 데 힘입어 100여명을 채용했다.

르노삼성차는 올해 신규 인력의 30%를 여성으로 채용한다. 회사는 직원 성별 다양성을 강조하는 르노그룹 방침에 따라 2011년부터 자체적으로 여성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런 여성 인력 강화 정책은 새 정부 들어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정부는 내각의 30%를 여성으로 채우겠다는 방침을 밝히는 등 여성 인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실적 호전으로 자신감을 얻은 르노삼성차는 연구·영업 부문을 중심으로 한동안 인력 확대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박동훈 사장은 올해 초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말 기준 197개인 판매 거점을 올해 안으로 259개까지 늘리겠다”며 “빠른 시기에 공백이 있는 상권에 거점을 확보하고 영업 인력도 늘릴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다만 르노삼성차의 확장적 인력 정책이 제조 부문으로 확대 적용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회사는 국내 공장 증설이 어렵다는 입장인 데다 업계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비정규직과 간접고용 문제도 해묵은 숙제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현대자동차그룹도 올해 신규 채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3년간 채용 규모를 늘려 왔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지난해에는 채용 인원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1만명을 넘겼다.

글=강창욱 기자 kcw@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