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의 대표 교육 공약인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고교학점제는 고등학교에서도 대학처럼 원하는 과목을 수강하고 일정 학점을 이수하면 졸업할 수 있는 제도다.
새 정부에서 인수위원회 역할을 하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는 2일 오전 서울 도봉구 도봉고를 방문해 고교학점제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도봉고는 2010년부터 1학년은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필수과목을 배우고, 2∼3학년은 대학생처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듣는 방식으로 ‘전 과목 선택제’를 운영하고 있다. 간담회에는 유은혜 김좌관 오태규 국정기획자문위원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등이 참석했다.
조 교육감은 이 자리에서 “(고교학점제가) 서울·경기·세종에서 이미 시범 실시하고 있는 만큼 보편적 실시를 바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시행에 따르는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선 과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며 “2019년에 보편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과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 교육감은 학생들이 입시에 유리한 과목만 골라 듣는 문제를 줄이기 위해 고교학점제가 내신 절대평가와 병행 시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또 “(교사가) 교육설계 과정 코디네이터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급당 선생님이 대면하는 학생 수가 줄어들어야 여유가 있다”며 교사 수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위원은 “그동안의 학교교육이 입시위주의 경쟁교육이었다면 이제는 본인들의 흥미에 따른 진로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며 “맞춤형 교육을 위한 실천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글=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
“고교학점제, 바로 시행할 수 있을 것”
입력 2017-06-02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