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상조의 해명에도 세간의 시선 곱지 않다

입력 2017-06-02 17:27
국회에서 2일 열린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초반부터 삐걱댔다. 야당은 위장전입과 부동산 투기 의혹, 배우자 취업 및 아들 병역 특혜 의혹에 대한 자료제출을 요구했고, 야당은 ‘지나친 요구’라고 반박해 논란이 벌어졌다. 어떻게 해서든 김 후보자를 낙마시키겠다는 야당과 결코 밀릴 수 없다는 여당이 정면충돌한 것이다.

청문회에서는 지금까지 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들이 다시 제기됐다. 그러나 김 후보자는 간혹 “송구하다”고 자세를 낮추면서 비교적 차분히 해명했다. 청담동 아파트 특혜 분양 의혹에 대해선 “청담동은 어렸을 때 살던 곳이라 지나가다 복덕방에서 미분양이라는 걸 알고 샀으며, 2동짜리 작은 아파트”라고 설명했다. 2004년 위장전입한 것과 관련해선 아내의 암 치료를 위해 거주한 것이라고 말했고, 노사정위원회 보고서와 산업노동연구 논문 내용이 같은 ‘자기 표절’ 논란에 대해선 “노사정위 승인을 받고 학회지 요청을 받아 게재된 것”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나아가 “지난 20년 동안 칼날 위에 서 있다는 긴장감을 갖고 살았다”고도 했다. 자기관리를 철저히 해 왔다는 얘기일 것이다. 그는 청문회에서 공정한 시장경제 질서를 확립하겠다는 등 의욕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김 후보자를 바라보는 세간의 시선은 그리 곱지 않다. 김 후보자가 ‘재벌 저격수’로 활동해오면서 본인은 물론 부인과 아들까지 특혜를 누려온 게 아니냐는 의문은 여전하다. 여당은 김 후보자에게 무려 18건의 의혹이 제기됐지만 실정법 위반이 드러난 게 없다고 강조하면서 김 후보자 감싸기에 주력하고 있다. 한 의원은 “김 후보자에 대한 의혹 제기 배후에 재벌이 있다는 소문이 돈다”는 허무맹랑한 이야기까지 했다. ‘청와대 거수기’ 역할을 하지 않겠다던 다짐은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다. 청와대는 김 후보자 임명을 서둘러 강행해선 안 된다. 국민과 야당을 설득하는 절차가 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