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민간단체 8곳의 대북 접촉 신청을 수리했다. 박근혜정부 때 사실상 단절됐던 남북 민간교류가 새 정부 들어 활기를 되찾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2일 “인도지원 단체 2곳과 종교단체 6곳의 북한주민 접촉 사전 신고를 수리했다”면서 “민간 교류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연하게 검토한다는 정부 입장에 따랐다”고 밝혔다.
대북 접촉이 승인된 인도지원 단체는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와 어린이어깨동무 등 2곳이다. 종교단체는 한국종교인평화회의, 한국기독교연합사업유지재단, 평화3000, 단군민족평화통일협의회,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천태종 나누며하나되기 등 6곳이다.
이들 단체는 북한에 팩스 또는 이메일을 보내거나 중국 등 제삼국에서 북측 관계자와 직접 접촉할 것으로 예상된다. 협의에 진전이 있을 경우 방북을 추진할 수도 있다. 다만 통일부는 대북 접촉과 별개로 방북 승인에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써 문재인정부 취임 후 대북접촉 승인을 받은 민간단체는 10곳으로 늘었다. 통일부는 지난달 26일 대북 말라리아 방역 지원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에 이어 지난달 28일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의 대북접촉 신청을 승인했다.
현재까지 통일부가 접수한 민간단체의 대북 접촉 신고는 40여건이다. 신고 중 상당수는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지난달에 집중적으로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인도지원과 종교 등 사회·문화교류 관련 단체의 대북 접촉 신청은 긍정적으로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민간 대북접촉 승인… 교류 물꼬 튼 韓
입력 2017-06-02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