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비롯한 10개 나라가 북한의 주요 교역국으로 김정은 정권의 해외 ‘돈줄’ 역할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전체 해외 교역 규모는 66억 달러(약 7조4000억원)로 최대 교역국은 단연 중국이었다. 중국은 지난해 총 61억 달러 규모의 대북 교역을 기록하며 북한 전체 대외 무역의 약 92%를 차지했다.
중국에 이어 인도(1억4500만 달러) 필리핀(8900만 달러) 러시아(8400만 달러) 태국(5300만 달러) 파키스탄(4900만 달러) 부르키나파소(3400만 달러)와도 거래했다. 이밖에 도미니카공화국(2000만 달러)과 베네수엘라(1600만 달러) 칠레(1500만 달러)와 같은 중남미 국가도 북한 정권의 해외 돈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대북 제재와 돈줄 죄기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과 거래하는 이들 국가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우선적인 압박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을 제재하는 ‘세컨더리 보이콧’을 시행하게 되면 북한의 10대 교역국 기업들이 제재의 시범 케이스가 될 가능성이 높다.
교역과 별도로 북한은 또 중국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등 전 세계 12개 나라에서 약 100개의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 역시 북한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이 되고 있다.
한편 북한은 47개 나라에 대사관을 유지한 채 대사급 외교관계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 중 24개국은 평양에도 자국 대사관을 두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글=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
북한의 ‘돈줄’, 中 다음은 인도-필리핀-러시아
입력 2017-06-01 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