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군내 사조직으로 알려진 ‘알자회’ 처단을 촉구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도 군내 사조직 감사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사드 보고 누락 경위에 대한 청와대의 진상조사와 함께 대대적인 군 인사 개혁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인 홍익표 의원은 1일 오전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사드 추가 반입 보고 누락 과정과 관련해 세 가지 국내 문제가 있다”며 “알자회라는 육사 34기부터 43기까지 100명이 넘는 사람들이 군내 핵심 보직을 자기들끼리 돌리며 이러한 일을 처리했다. 감찰을 통해 엄격히 처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홍 의원은 “김영삼정부 때 알자회가 해체된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명박·박근혜 정권에서 부활한 것 같다”며 “매우 경악스러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사드 배치와 추가 반입 과정에서 군내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보고 누락의 문제가 생겼고, 그 배경에 알자회를 비롯한 군내 사조직들이 있다는 주장이다. 사드 배치를 총괄하는 국방부 정책실의 장경수(육사 41기) 정책기획관도 알자회 소속이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홍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여러 경로를 통해 알자회의 실체를 확인했다. 전 정부에서는 이 문제를 덮기만 했는데 이제는 정리해야 한다”며 “알자회뿐만 아니라 김관진 전 국가안보실장을 중심으로 한 독일 사관학교 유학파 모임 ‘독사회’도 문제로 거론된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자문위 기획분과위원이기도 한 홍 의원은 “필요하면 국정기획자문위 관련 분과와도 감사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알자회는 육사 34기부터 43기까지 120여명이 활동했던 군내 사조직이다. 지난해 국회 최순실국정조사특위 청문회에서 청와대 우병우 전 민정수석과 안봉근 전 비서관이 추명호 전 국정원 국장을 통해 알자회의 뒤를 봐줬다는 의혹이 제기됐었다. 당시 국방부는 입장자료를 통해 “알자회는 1992년 이미 해체됐다. 군내 파벌이나 비선에 의한 인사 개입은 있을 수 없다”고 해명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알자회’ 정조준… 부활한 軍 사조직, 사드 보고누락 배후설
입력 2017-06-02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