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방부 “사드 배치 모든 과정 매우 투명”

입력 2017-05-31 18:05 수정 2017-05-31 21:41
딕 더빈 미국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오른쪽)와 마크 내퍼 주한 미국대사 대리(오른쪽 두 번째) 일행이 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면담을 마친 뒤 차에 오르기 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지훈 기자

미국은 사드 배치 보고누락 논란을 한국의 내부 사정으로 간주하는 분위기다. 사드 반입과 배치는 한·미동맹 차원에서 긴밀히 협의하고 진행된 만큼 양국 관계에 미칠 사안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사드 논란이 커질 경우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에 불똥이 튈까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미 국방부 제프 데이비스 대변인은 30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우리는 사드 시스템의 배치와 관련해 한국 정부와 앞으로도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배치 과정은 매우 투명하게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또 “사드 시스템을 완성하기 위해 모든 장비를 언제까지 배치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식적인 시한은 없다”면서 “사드는 현재 초기 요격능력만 보유하고 있으나 장비를 추가할 경우 여유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외교가는 일단 사드 보고누락 논란이 한·미 정상회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지 않는다. 6월 말로 예정된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양국 실무진 사이에서는 이번 회담이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첫 만남인 만큼 두 정상이 친분과 신뢰를 쌓는 계기가 되도록 애를 쓰고 있다. 갈등이나 이견을 드러낼 소재는 가급적 상정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회담 의제는 이번 주말에 방미하는 정의용 청와대 안보실장이 미측을 만나 조율할 예정이다. 하지만 사드 비용이나 비공개 반입 논란 등은 의제에서 배제될 것이라는 게 소식통들의 전언이다.

다만 한 외교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불쑥 문 대통령에게 사드에 대한 의견을 묻거나 비용 부담을 요구할까봐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은 한국의 사드 배치 보고누락 사태와 관련해 엄중한 우려를 표명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에서 사드 4기의 추가 반입 논란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해 “중국은 유관 상황에 대해 엄중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사드 배치에 결연히 반대하며 다시 한 번 한국과 미국이 사드 배치를 중단하고 취소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워싱턴=전석운 특파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swchun@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