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걸린 ‘서울로 7017’… 개장 열흘 만에 투신사고

입력 2017-05-31 05:00
사진=뉴시스

서울역 고가를 공중보행길로 재생한 ‘서울로 7017’에서 사람이 떨어져 숨졌다.

30일 서울시와 남대문경찰서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출신 30세 남성 A씨가 전날 밤 11시50분쯤 서울로에서 투명 강화유리로 된 안전펜스 너머로 몸을 던졌다. 개장 열흘 만에 투신자살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서울로가 한강다리와 같은 자살 장소가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서울로 아래는 차도와 인도가 밀집한 곳이라서 상공 17m의 서울로에서 사람이나 물건이 추락할 경우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 있어 ‘추락물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A씨가 투신한 곳은 서울로의 서쪽 끝부분으로 만리동광장으로 빠져나가기 10여m 전이다. A씨는 서울 서부역 앞쪽 청파로 8차선 대로 위로 추락했다. 차들이 오가는 상황에서 추락했다면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추락 전 119 구조대가 차량 통행을 막아 추가 사고는 없었다.

A씨는 안전펜스에 부착된 장애인용 핸드레일을 밟고 올라선 채 경찰과 30여분간 실랑이를 벌이다가 안전펜스 너머로 몸을 던졌다. 장애인용 핸드레일에 올라선 A씨를 서울로 야간순찰 요원이 발견해 119에 신고했다. 남대문경찰서는 A씨가 경제적 어려움을 비관해 자살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이번 사고로 서울로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서울시는 지난 20일 서울로를 개장하면서 안전사고를 우려해 안전펜스를 통상적인 높이보다 20㎝가량 높여 1.4m로 설치했다고 설명했지만 투신을 막진 못했다.

장애인과 노약자의 보행을 돕기 위해 안전펜스 1m 정도 높이에 설치한 핸드레일이 발을 딛고 올라서는 계단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허점도 드러났다. 핸드레일이 없다면 1.4m 높이의 미끄러운 안전펜스 위로 올라가기가 힘들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추락으로 인한 2차 사고 가능성도 심각한 문제다. 한 택시기사는 “주행 중 차나 차도 위로 사람이 추락하면 큰일”이라며 “차도 위로 빈 캔 하나만 떨어져도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로 이용객들이 안전펜스 너머로 병이나 캔, 쓰레기 등을 버릴 경우 자칫 큰 사고를 부를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시는 투신자살 사고와 관련해 대책회의를 열고 순찰요원 확충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에 달하는 서울로에 배치된 경비 인력은 현재 총 16명이며, 12시간씩 3교대로 운용하고 있다. 서울로 방문객은 개장 후 열흘간 80만명이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