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靑·내각 인사 ‘서·호·남’ 강세

입력 2017-05-31 05:00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내각과 청와대 등 주요 공직 인선에서 ‘서(서울대)·호(호남)·남(남성)’ 출신 인사의 강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호남 출신 인사 중용이 눈에 띄지만 충청과 영남 출신도 비교적 골고루 기용하며 ‘탕평인사’를 실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서울대 출신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 임명되는 등 서울대 중용 현상은 여전했다. 여성 중용을 천명했지만, 남성 비율은 압도적으로 높았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30일까지 청와대가 공식 발표한 정부와 청와대(비서관급 이상) 주요 공직 인선자 39명의 출신 지역을 보면 수도권(서울·경기) 출신이 12명으로 가장 많았다. 호남 출신이 10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 지역은 모두 지난 대선에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던 지역이다.

장관급 이상 인사에서는 전체 18명 가운데 7명(38.8%)이 호남 출신으로 호남 중용이 두드러졌다. 특히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영광)와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장흥), 이용섭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함평),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나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광주) 등 장관급 이상을 5명 배출한 광주·전남의 약진이 돋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1명으로 가장 많은 인사를 배출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서훈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조현옥 청와대 인사수석, 하승창 청와대 사회혁신수석 등이 서울 출신이다. 특히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 봉욱 대검찰청 차장, 박형철 청와대 반부패비서관, 김형연 법무비서관 등 서울 출신 법조인들이 다수 기용됐다. 영남과 충청도 각각 8명과 7명씩 기용됐다. 다만 강원도와 제주에서는 각각 1명씩만 기용되는 데 그쳤다.

출신 대학별로는 전체 39명 중 18명(중퇴자 1명 포함)이 서울대 출신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낙연 후보자와 김진표 국정기획자문위원장,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등 서울대 법학과 출신 9명이 정부와 청와대, 사법부 등에 두루 포진했다. 연세대와 고려대 출신이 각각 5명으로 뒤를 이었다. 이정도 청와대 총무비서관 등 지방대학 출신의 약진도 두드러졌다. 문 대통령의 ‘흙수저 우대’ 방침에 따른 기용이다.

39명 중 여성은 4명으로 집계됐다. 문 대통령은 대선 기간 ‘내각 30% 여성 기용’을 약속했지만 현재까지 지명되거나 임명된 인사 중 여성은 10% 선에 불과하다. 4명 중 강경화 후보자,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등 3명이 행정부 소속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 후보자,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김현미 후보자,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인선을 직접 발표하지는 않았다. 문 대통령은 앞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인사에 대해서는 직접 발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최근 국무위원 후보자 인사검증 논란이 지속되는 데 따른 부담감이 반영됐다는 시각도 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