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를 비롯한 국무위원 후보자들의 잇단 위장전입·탈세 논란에 대해 “야당 의원들과 국민에게 양해를 당부 드린다”며 몸을 낮췄다. 이후 국민의당, 정의당이 협조 의사를 밝히고 바른정당도 이 후보자 인준 절차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31일 국회 본회의에서 인준안 표결이 이뤄질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29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앞으로 5대 원칙 배제 공약의 기본 정신을 훼손하는 일이 결코 없을 것임을 약속드린다”면서 국민과 야권에 이해를 구했다.
문 대통령은 “당선 첫날 곧바로 이 총리 후보자를 지명한 것은 최대한 빨리 국정공백을 최소화하고, 국민의 인사 탕평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국회 인준이 늦어지고 정치화되면서 저의 노력이 허탈한 일이 돼 버렸다”고 말했다.
병역 면탈, 부동산 투기, 위장전입, 세금 탈루, 논문 표절 등 공직배제 5대 원칙 천명 배경에 대해선 “이명박·박근혜정부 인사청문회에서 특히 많이 문제가 됐던 사유들”이라며 보수정권의 인사 기조와의 차별화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미 발생한 논란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는 일”이라며 정면 돌파 의지도 내비쳤다. 그러면서 “앞으로 인사를 위해 국정기획자문위원회와 청와대 인사수석실, 민정수석실이 협의해 구체적인 인사 기준을 이른 시일 내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도 국회를 찾아 국회 인사청문제도가 도입된 2005년 7월 이후 위장전입 관련자, 그 이전의 경우라도 부동산 투기성 위장전입을 한 경우에는 국무위원 후보자에서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야권의 요구사항 중 재발방지 대책 마련 부분을 수용한 것이다.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의 입장을 유감 표명으로 이해하지는 않았다”면서도 “여러 문제가 있지만 대승적 차원에서 협조키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바른정당은 국회 인준 절차에는 응할 방침이지만 찬반 여부는 내부 논의를 더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하지만 자유한국당은 총리 인준안 처리 수용불가 당론을 채택해 문재인정부의 협치 험로를 예고했다.
강준구 김경택 기자 eyes@kmib.co.kr
文대통령 “인사 양해를”… 국민의당 “협조”
입력 2017-05-29 17:36 수정 2017-05-29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