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남북정상회담 필요… 국정원, 국내정치와 단절”

입력 2017-05-29 17:36 수정 2017-05-29 21:25
서훈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남북 정상회담 필요성을 함께 논의했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 국정원은 국내 정치와 완전히 단절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 후보자는 29일 국회 정보위원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문 대통령이 후보 시절) 남북 정상회담은 필요하다는 정도의 논의를 했다”며 “다만 정상회담 추진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없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으로부터 정상회담 실무를 총괄하고 회담 추진을 지시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없었다”고 말했다.

서 후보자는 다만 “북핵 문제에 결정적 전환점이 없으면 회담은 사실상 어렵다”며 “(현재의) 국내 여건과 국제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이 정상회담을 하는 것은 간단치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서 후보자는 5·24조치에 대해서도 “당장 재개하는 것은 어렵다”며 “개성공단 재개는 국제사회와 국내 우려를 불식해나가며 절차를 밟는 게 맞다”고 견해를 밝혔다.

서 후보자는 국정원 개혁과 관련해선 “국내정치 개입 논란으로 인해 국민적 신뢰와 지지에 위협을 받고 있다”며 “국정원은 정권을 비호하는 조직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 정보기관이 국민으로부터 외면당한다면 국가안보가 위험해진다는 확고한 소신을 갖고 있다”며 국내 정치 관여 금지를 약속했다.

서 후보자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국내에서 해서는 안 될 일이 있다”며 “그런 일을 하는 인원과 조직은 당연히 없어져야 하고, 일이 없어지면 조직은 없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개혁위원회나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지 않을 수 없다”며 “원내뿐 아니라 원외에서 고언해줄 수 있는 분을 모시겠다”고 말했다. ‘댓글 사건’ 등 국정원의 국내 정치 개입 의혹 조사와 관련해선 “정치보복은 없다. 그러나 잘못한 것과 잘한 것을 가리는 것은 다르다”며 “그런 것을 구분해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일반 사회 동향이나 현안을 청와대에 보고할 것인지 묻자 “원칙적으로 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위는 안 하겠다는 방향”이라고 답했다.

서 후보자는 “국가안보에 대해 초당적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국회의장단과 각 당 지도부에 수시로 안보 정세를 보고하겠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