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29일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미국과 일본이 추가 대북 제재를 비롯해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일은 특히 양국 주도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북한 핵 및 미사일 실험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한 지 이틀 만에 또다시 북한이 도발하자 어느 때보다 격앙된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 이 사실을 보고받았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백악관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미 정부는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를 인지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 이 사실을 보고받았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에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미국은 국제사회를 통한 대북 제재와 압박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만나 북한에 대한 제재를 확대하기로 합의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핵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주체들을 특정하고 제재하는 것을 포함해 대북 제재를 강화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아베 총리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5시간 뒤 참의원 본회의에 출석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내용을 밝힐 순 없지만 미국과 함께 구체적인 행동을 취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이날 발사는 반복되는 국제사회의 강한 경고를 무시한 것으로 우리나라(일본) 차원에서도 가장 강한 표현으로 비난하고 북한에 엄중히 항의했다”고 설명했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도 전화 회담을 통해 북한의 행동을 결코 용납할 수 없으며 한·미·일이 연계해 북한에 대한 압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양국 장관은 특히 북한에 영향력이 큰 중국이 새로운 역할을 찾아나가고, 러시아의 역할도 주문하기로 했다고 NHK는 전했다.
일본은 미·일 정상회담 조율차 이날 오후 방일한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과도 대북 제재를 논의할 것이라고 AP통신은 전했다.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도 조지프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및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각각 긴급통화를 갖고 북한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대응방안을 협의했다. 이들은 3국 간 긴밀한 공조하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조치 등을 포함해 단호히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G7 경고 무시… 美·日 어느 때보다 격앙
입력 2017-05-29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