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1의 싸움’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고개까지 절레절레 흔들었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상을 뛰어넘는 고집 속에 역대 최악의 분열상을 보이며 막을 내렸다.
미국을 비롯해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 등 G7 정상들은 이탈리아 시칠리아의 휴양도시 타오르미나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6쪽 분량의 빈약한 공동성명을 내고 27일(현지시간) 이틀간에 걸친 일정을 ‘간신히’ 마쳤다.
이는 지난해 일본 이세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버락 오바마 전 미 대통령을 중심으로 회원국 정상들이 사안마다 ‘환상의 호흡’을 선보였던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당시 7명의 정상들은 기후변화와 자유무역, 난민문제 등 핵심 의제에서 이견 없이 일치된 32쪽 분량의 공동선언을 채택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마이웨이’에 개막 전부터 우려가 컸던 올해 G7 정상회의에서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6개국은 회의 기간 내내 파리기후협정을 준수하라며 트럼프를 압박했다. 6명 정상들이 합심해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쇠귀에 경 읽기’였다. 트럼프는 보란 듯이 본인의 트위터에 “(G7 회의에서가 아니라) 다음 주에 파리기후협정 잔류 여부를 결정할 것”이란 글을 올렸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기후변화협정 관련 논의는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기 위해 27일 새벽 2시까지 계속됐음에도 결국 성과 없이 끝나고 말았다.
6개국 정상들은 최종 성명에 “미국을 제외한 6개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파리기후협정 이행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미국의 (파리기후협정) 검토 절차를 이해한다”는 문구를 울며 겨자 먹기로 끼워 넣을 수밖에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한 어려움은 파리기후협정뿐만이 아니었다. G7에 자유무역은 존재의 이유와도 같은 가치임에도 불구하고, 이 부문에 있어서 6개국 정상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입맛에 맞춰 “시장 개방을 유지하고, 보호주의를 배격한다”는 문구와 “모든 불공정한 통상 관행에 단호히 맞선다”는 문구를 최종 성명에 포함시켜야 했다.
난민 문제도 “이주민과 난민의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언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이 반영된 “자국의 국경을 통제하는 각 나라의 주권을 인정한다”는 문구가 최종 성명에 삽입됐다.
이런 불협화음은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을 고려해 볼 때 일찌감치 예견된 일이었음에도 예상을 뛰어넘는 독선에 다른 정상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메르켈 총리는 폐막 기자회견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논의는 전반적으로 매우 힘들었으며 또 매우 불만족스럽다”면서 “미국이 파리 협정에 계속 남아 있을지 확신하지 못하겠다”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귀국길에 오르며 “이번 순방의 모든 곳에서 홈런을 쳤다”고 자랑했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
정상 6명이 새벽 2시까지 트럼프 설득했지만… 역대 최악의 G7 정상회의
입력 2017-05-29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