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6일 김영배 경총 부회장의 ‘정부의 일자리 창출 방안 비판’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지자 경제단체들과 재계는 바짝 긴장하면서도 일자리 정책을 인위적으로 밀어붙이는 것에 대해서는 반감을 드러냈다.
문제 발언의 진원지인 경총에는 26일 항의전화가 빗발쳤다. 경총은 김 부회장 발언에 대해 해명하느라 진땀을 뺐다. 경총 관계자는 “노동조합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 정부 정책에 대해 한 것이 아니었다”며 “노동조합의 정규직화 요구가 거세지고 있어 기업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취지였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경총의 입장이 과거와 다른 게 아니고, 다만 시기상의 문제였다”며 “톤 자체도 과거에 비해 높은 편이 아니고 단어 선택도 조심스럽게 했는데 이런 상황을 맞게 돼 곤혹스럽다”고 전했다. 경총은 사용자 측을 대변하는 보수적인 경제단체로 노사 문제와 최저임금 문제를 다루고 있다.
다른 경제단체는 정부 정책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없고 방향만 제시한 상태여서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가 설치된 후 의견을 조율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단체 관계자는 “(정부 방향이) 기존 방식과 간극이 커 이대로 가다보면 위태로울 수 있다는 게 경총 입장인데 대통령은 안주하려 한다고 생각해 지적한 것 같다”며 “서로 공감대를 갖고 대안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다리 찢어진다는 말이 있지 않느냐. 정부가 추진하는 방향을 볼 때 바로 수용 가능한 기업이 있을 거고 안 되는 기업도 많을 것으로 본다”며 업계를 두둔했다.
재계 관계자는 “민간단체에 대해 대통령이 나서서 얘기하면 무서워서 말하겠느냐. 경총이 못할 말 한 건 아니지 않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관계자는 “일자리라는 게 경제 상황과 업황 등을 고려해 수요가 생기는 거고 사업 전략과 기업 상황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무리하게 인위적으로 하게 되면 생각지 못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기업이든 정부든 대화로 풀어나가야 한다”며 “모든 옵션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논의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부도 경총 의견을 듣고 버릴 건 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자리위원회가 대화로 하자는 게 목적이라면 정답을 미리 정해놓고 하면 건설적 대화가 힘들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과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지만 기업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는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며 “규제 철폐 등 기업이 투자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
바짝 엎드린 재계… 속으론 부글부글
입력 2017-05-26 17:50 수정 2017-05-26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