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경총, 양극화 만든 주요 당사자… 성찰 먼저”

입력 2017-05-27 00:00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를 사회적 양극화의 공범으로 꼽으며 반성과 성찰을 요구했다. 전날 경총의 정부 일자리 정책 비판에 대한 경고 성격이다.

문 대통령은 26일 “경총은 비정규직으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를 만든 주요 당사자로서 책임감을 갖고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먼저 있어야 한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이어 “지금은 정부와 노동계는 물론 경영계까지 지혜와 힘을 모아 비정규직 문제와 청년실업 문제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이러한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전한 뒤 “경총이 잘못된 내용으로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발언을 해 주요 국정과제인 일자리 문제가 표류하지 않을까 유감”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전날 경총의 발언에 대해 ‘곡해’ ‘오독’ 등의 용어로 강하게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어제 경총 측의 발언은 정부 일자리 정책 의지에 대한 곡해”라며 “마치 정부가 민간 기업에 강압하려 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사실과 맞지 않을 뿐더러 정부 정책을 심각하게 오독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간 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사회적 합의와 국회 입법이 선행돼야 제대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며 “정부 정책 우선순위는 공공부문이며, 이를 마중물로 하여 민간 기업으로 점차 확대하겠다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청와대는 비정규직 문제가 국민적 갈등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헬조선’으로 대표되는 청년실업 문제의 핵심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공부문을 시작으로 안전관리나 청소, 경비 등 필수 업무를 직접 고용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박 대변인은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일은 민생을 살리는 일이고 결국 기업에도 좋은 일”이라며 “상대가 누구든지 마음의 문을 열고 대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영배 경총 부회장은 전날 경총포럼에서 “논란의 본질은 정규직·비정규직 문제가 아니라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라며 “사회 각계의 정규직 전환 요구로 기업들이 매우 힘든 지경”이라고 정부 정책을 비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