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對 5로도 알파고 벽 못넘었다

입력 2017-05-27 05:00
알파고는 역시 강했다. 세계 정상급 바둑 기사 5명이 머리를 맞댔지만 알파고를 이길 수는 없었다.

구글 딥마인드의 인공지능(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는 26일 중국 저장성 자싱시 우전에서 열린 ‘바둑의 미래 서밋(Future of Go Summit)’ 특별 대국에서 중국 대표팀에 254수 만에 백 불계승을 거뒀다. 이번 대결은 인간 바둑 기사들이 상의하면서 단체로 알파고와 겨루는 상담기였다. 중국 대표팀은 천야오예 저우루이양 미위팅 스웨 탕웨이싱 등 9단 기사 5명으로 구성됐다. 모두 세계대회 우승 경력이 있는 정상급 실력자들이다. 인간이 알파고를 이길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기대가 높았지만 결국 알파고에게는 역부족이라는 점만 확인시켜줬다.

이날 중국팀은 5명이 최적의 수를 논의한 뒤 저우루이양 9단이 대표로 착수하는 방식으로 대국에 나섰다. 저우루이양 9단은 딥마인드의 초청을 받아 비밀리에 알파고 설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기사다.

이번 상담기 제한시간은 각각 2시간30분에 1분 초읽기 3회씩으로 커제 9단과의 일대일 대국보다 줄었다. 대국 초반 중국 대표팀은 5명의 협업으로 비교적 여유로운 모습을 보였지만 점차 논의 시간이 길어지며 시간에 쫓기는 모습을 보였다. 제한시간을 다 쓰고 초읽기에 몰린 중국 대표팀은 착수자를 탕웨이싱 9단으로 교체하고 끝내기에 집중했다. 하지만 알파고의 빈틈없는 마무리에 결국 돌을 던졌다.

앞서 이날 알파고A와 구리 9단, 알파고B와 롄샤오 8단 간의 복식 대국이 펼쳐졌다. 결과는 롄샤오 8단 팀이 구리 9단 팀에 백 220수 불계승이었다. 승부를 떠나 인간과 알파고가 번갈아 바둑을 두는 형식을 통해 인간과 인공지능의 공조 가능성을 탐색하는 흥미로운 도전이었다는 평가다.

한때 알파고A는 구리 9단의 수를 수긍하지 않다가 결국 인정했고, 구리 9단 역시 나중에는 알파고A의 수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알파고는 커제 9단과의 일대일 대국에서보다 훨씬 파격적인 수를 많이 선보였다. 이번 복식 대국은 커제 9단과의 대국과 달리 쉽게 승부를 예측하기 어려운 형세가 이어졌다. 중반까지는 호흡이 잘 맞았던 구리 팀이 앞서나가다 차분하게 대응해 나가던 롄샤오 팀이 결국 역전에 성공했다.

커제 9단의 대국과 달리 이번 복식 대국과 단체 대국은 100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공개 무대에서 진행됐다. 알파고는 커제 9단과는 이미 3번기 중 두 번을 이긴 상태에서 27일 마지막 대국을 펼칠 예정이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