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시선이 ‘응달’에서 ‘양달’로 옮겨가고 있다. 우리 경제에 볕이 들고 있다고 본다. 최근의 수출과 투자 호조를 발판으로 하는 성장세가 예상보다 높다는 판단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25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2.6%)를 추가로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최근 국내 경제는 예상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걸로 판단된다”며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 호조가 직접 원인”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상반기 경제 여건을 종합 판단한 뒤 오는 7월 수정 경제전망 발표 때 이를 반영할 방침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6%로 상향 조정했었다. 민간소비는 여전히 저조하지만 수출과 투자가 개선되는 점을 감안한 조치였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은 0.9%다. 지난해 4분기 0.5%로 저점을 찍고 상승기류를 타는 추세다.
한은은 일자리를 중심에 둔 새 정부의 재정정책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이 총재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후보자의 ‘확장적 재정론’을 반기며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 측면을 고려할 때 저금리 상황에서 재정정책이 경기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다”고 강조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처럼 ‘완전고용’을 한은 목적에 추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청와대에 일자리 상황판을 만들 정도로 고용에 ‘올인’하는 새 정부 정책에 부응하는 셈이다. 이 총재는 “국회를 중심으로 논의가 심화되길 바란다”고 했다.
이 총재는 또 기준금리가 현재 수준(연 1.25%)에서 더 내려가지 않을 것이란 ‘바닥론’을 인정했다. 그는 “경제 여건을 고려했을 때 현재의 금리 수준도 충분히 완화적”이라고 했다.
136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에 대해선 증가세가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장기적으로 소득증가율 이내로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금통위원 만장일치 동결 기조가 11개월째 유지되고 있다. 경기 회복세를 지키기 위해 저금리를 고수하지만 1360조원의 가계부채 부담이 남아 있어 금리를 조절하지 못하는 ‘동결 흐름’은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한은 “수출·투자 개선… 성장률 추가 상향 가능”
입력 2017-05-25 18:30 수정 2017-05-25 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