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회의 ‘세 가지’가 사라졌다

입력 2017-05-26 05:00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는 앞으로 받아쓰기, 사전 결론, 계급장이 없는 ‘3무(無) 회의’로 진행될 방침이다. 대통령 지시사항 전달 경로가 아니라 다양한 의제를 격의 없이 토론하는 수단으로 회의를 활용하자는 게 문재인 대통령의 생각이다.

문 대통령은 25일 청와대 여민1관 3층 소회의실에서 열린 수보회의에서 “과거에 수보회의가 어떻게 운영돼 왔는지는 잊어 달라”며 “수보회의는 대통령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다함께 공유하고 토론을 통해 결정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수보회의를 지시를 전달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는 있다”면서도 “회의에서 결론 내려진 사항을 발표할 때 대통령 지시와 수보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은 구분해 발표하면 된다”고 했다.

수보회의는 매주 월요일 오후와 목요일 오전, 두 차례 개최된다. 문 대통령은 1주일에 최소 한 번은 수보회의를 직접 주재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불참 시엔 임종석 비서실장이 주재한다.

참석자는 각 수석과 경제·과학기술보좌관, 대변인에 국한되지 않는다. 문 대통령은 전문적인 사안에 대해선 담당 비서관이 직접 수보회의에 참석해 설명하도록 했다. 받아쓰기도 없어진다. 회의에서 논의된 모든 사안은 청와대 전자결재 시스템에 자동 저장된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