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와 교육당국이 다문화 가정 지원 대책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국내 체류 중인 이민자가 200만 명을 넘어섰고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 가정도 100만 가구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광역시는 “해마다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이 원활한 일상생활을 꾸리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제 몫을 다하도록 적극 돕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단순한 정착 지원을 넘어 지역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시는 지난해 사회복지, 국제교류 담당 공무원과 사회통합추진단, 시교육청 등으로 관련 위원회를 구성했다. 시교육청은 다수의 통역 인력을 보유한 광주국제교류센터와 업무 협약식을 체결하고 다문화 학부모들을 위해 중국어, 러시아어, 일본어, 베트남어 등 출신국 언어로 가정통신문을 번역·발송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있다. 광주시 김종효 기획조정실장은 “다문화 가정 자녀 등이 차별과 소외 없이 원만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교육당국과 머리를 맞대고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 북구는 지난달 세무정보를 담은 ‘다문화 가정을 위한 알기 쉬운 지방세’ 안내책자 2000여부를 중국어와 베트남어, 영어 등 3개 국어로 발간했다. 지방세 납부방법, 미납으로 인한 불이익 등을 소개하는 이 책자는 다문화 가정과 각 주민센터 등에 배포됐다.
대구시교육청은 지난 3월부터 한국어가 능숙한 7개국 31명의 결혼이민여성을 ‘다문화 에듀 코디네이터’로 활용해 학령기 자녀를 둔 다문화 가정에 해당 모국어로 학교생활에 꼭 필요한 정보를 안내하고 있다. 대구지역 다문화 가정은 2010년 5321가구에서 2016년 6901가구로 1580가구 늘었다. 같은 기간 다문화 자녀 수는 3389명에서 6423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충남도교육청은 ‘다우리 다문화 교육사업’을 통해 맞춤형 교육지원에 나서고 있다. 도교육청은 다문화교육센터 운영학교를 지난해 85개교에서 올해 117개교로 확대했다. 60개교에서는 공동체 생활과 다문화 가족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학생 동아리를, 40개 학교는 이중언어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서울 은평구와 서울주택도시공사는 ‘어바웃 빌리지(어울려 서로 돌봐주고 바라보며 소통하는 이웃)’라는 명칭의 공공임대주택 8가구를 7월 중 터널로 169-18(신사동 200-133)에 공급해 다문화 가정의 주거안정에 도움을 주기로 했다.
광주·대구=장선욱 최일영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
다문화 가정 100만 세대… ‘동행 대책’ 눈길
입력 2017-05-26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