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눈을 뜨면 미세먼지 수치부터 확인하는 시민이 늘고 있다. ‘나쁨’이냐 ‘보통’이냐가 하루 종일 기분까지 좌우한다. 하지만 수치상으론 미세먼지가 오히려 2000년대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온다. 국민이 체감하는 현실과 괴리가 크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주요 도시의 미세먼지 오염도는 측정이 시작된 1995년 이래 지난 20년간 꾸준히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95년 전국의 오염도는 ㎥당 평균 67㎍이었으나 2015년에는 48㎍까지 떨어졌다. 2001년 58㎍, 2009년 53㎍, 2012년 45㎍로 꾸준히 줄어들었다. 대도시만 떼어서 봐도 서울은 95년 78㎍에서 2015년 45㎍로 낮아졌고, 부산(73㎍→46㎍) 대구(81㎍→46㎍) 인천(76㎍→53㎍) 대전(63㎍→46㎍) 모두 20% 이상 개선됐다.
미세먼지 오염도는 초미세먼지가 논란이 되기 전인 2012년에 가장 낮았지만 그 이후에도 2013년 전국 평균 49㎍, 2014년 49㎍, 2015년 48㎍로 수치상 크게 악화되지 않았다. 환경부 관계자는 “그동안 다양한 대기환경 개선 정책으로 과거보다 미세먼지 오염도는 줄어들었다”며 “다만 최근 몇 년은 대기정체 현상이 심해지는 등 기상변화의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지표는 달라진 국민의 관심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황사 등을 포함한 미세먼지 농도만 측정할 뿐이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초미세먼지나 중금속, 발암물질 등 먼지 성분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는 보여주지 못한다. 김세형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연구원은 “과거에는 단순히 황사나 미세먼지 발생 여부에 관심이 있었다면 최근에는 미세먼지의 심각성이나 유해성에 관한 관심이 늘었다”고 전했다. 환경부의 초미세먼지 예경보 제도는 2015년에야 시행됐다.
특히 최초 발생한 미세먼지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만나 생성되는 2차 초미세먼지의 경우 배출량이나 연간 수치 같은 기초적인 통계조차 없는 상황이다. 김홍철 환경정의 사무처장은 “현재는 1차적으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 위주로 대책이 나오고 있지만 앞으로 2차 생성물질을 절감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부 측은 “2차 초미세먼지의 심각성을 인식해 지난해 6월 미세먼지 특별 대책에 지표를 반영했다”며 “앞으로는 질산화물, 황산화물로 만들어지는 2차 초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암모니아 등 다른 오염물질로 만들어지는 물질까지 분석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이 국민의 실생활과 동떨어져 있어 체감도가 악화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은 “개인이 마스크를 사거나 공기청정기를 구입하는 등 미세먼지 대응은 여전히 개인이 스스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며 “지방자치단체와 정부가 국민의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되는 대응책을 권해야 불안감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글=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
[투데이 포커스] 미세먼지 통계수치-체감지수 따로 논다
입력 2017-05-25 05:03